마이토마이신C를 병용한 아메드밸브삽입술에서 콜라겐 기질 삽입 여부에 따른 수술 성공률 비교

목적: 녹내장 환자에서 시행한 mitomycin-C (MMC)를 병용한 아메드밸브삽입술에서 콜라겐 기질 삽입 여부에 따른 수술 성공률을 비교해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아메드밸브삽입술 시행 후 최소 1년 이상 관찰이 가능하였던 108명 108안을 대상으로 후향적 의무기록 분석을 통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콜라겐 기질을 삽입한 군은 55안, 대조군은 53안이었다. 안압하강제 사용 여부와 관계없이 안압이 연속하여 2회 이상 18 mmHg보다 높거나 5 mmHg보다 낮게 측정될 때를 수술 실패로 정의하였다. 결과: 콜라겐 기질 삽입군과...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Daihan angwa haghoi jabji Vol. 62; no. 10; pp. 1388 - 1396
Main Authors 김용현(Yong Hyun Kim), 김고은(Ko Eun Kim), 김청운(Chungwoon Kim), 안재홍(Jae Hong Ah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안과학회 15.10.2021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녹내장 환자에서 시행한 mitomycin-C (MMC)를 병용한 아메드밸브삽입술에서 콜라겐 기질 삽입 여부에 따른 수술 성공률을 비교해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아메드밸브삽입술 시행 후 최소 1년 이상 관찰이 가능하였던 108명 108안을 대상으로 후향적 의무기록 분석을 통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콜라겐 기질을 삽입한 군은 55안, 대조군은 53안이었다. 안압하강제 사용 여부와 관계없이 안압이 연속하여 2회 이상 18 mmHg보다 높거나 5 mmHg보다 낮게 측정될 때를 수술 실패로 정의하였다. 결과: 콜라겐 기질 삽입군과 대조군 모두에서 술 전에 비하여 술 후 안압 및 안압하강제 개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모두 p<0.001). 양 군 간의 술 후 안압 및 안압하강제 개수에는 차이가 없었다. Kaplan-Meier 생존분석 결과 녹내장수술 후 1년 누적 성공률은 콜라겐기질 삽입군에서 78.2%, 대조군에서 79.2%였고, 양 군 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54). 고안압기의 발생만이 수술 실패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연관성을 보였다(hazard ratio=3.81, 95% confidence interval=1.72-8.41, p<0.001). 관을 전방에 삽입한 군이 섬모체고랑에 삽입한 군에 비하여 술 후 1년 뒤 의미 있는 시력저하를 보였으나(p=0.011), 시력저하와 관련된 위험인자 분석 시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요인은 없었다. 결론: 녹내장 환자에서 시행한 MMC를 병용한 아메드밸브삽입술에서 콜라겐 기질 삽입 여부에 따른 1년간의 수술 성공률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보인다. Purpose: To compare the surgical outcomes of adjunctive mitomycin-C (MMC) Ahmed valve implantation with and without collagen matrix insertion.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108 eyes of 108 patients who underwent Ahmed valve implant surgery with adjunctive MMC. Collagen matrix insertion/Ahmed valve implant surgery (CM-AGV) was performed on 55 eyes, while conventional Ahmed valve implant surgery (AGV) was performed on 53 eyes. We defined surgical failure as an intraocular pressure (IOP) > 18 mmHg or <5 mmHg on two or more consecutive visits, regardless of medication status. Results: After surgery, the IOP and number of topical medications required fell significantly (compared with the preoperative period) in both groups (both p < 0.001); these findings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between groups. The cumulative surgical success rates at 1 year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between groups (78.2% vs. 79.2%, p = 0.54). The only risk factor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urgical failure was a postoperative hypertensive phase. Anterior chamber (compared with sulcus) tube placement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visual acuity loss at 1 year postoperatively, but this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between groups. Conclusions: At the 1-year follow-up after Ahmed implant surgery with adjunctive MMC, the success rates of surgery with and without collagen matrix insertion were similar. KCI Citation Count: 0
ISSN:0378-6471
2092-93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