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운 맥린증후군의 2예

목적: 백내장수술 후 무수정체안에서 나타나는 브라운 맥린증후군의 증례를 경험하여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증례 1) 4년 전 좌안 백내장수술을 받고 무수정체 상태인 54세 말판증후군 여성이 안과 검사 중 우연히 좌안의 주변부 각막부종이 발견되었다. 각막 중심부는 정상이나 주변부가 전체적으로 융기되어 있었고, 환자도 이물감, 통증, 눈물 흘림 등의 증상을 호소했다. 경면현미경검사상 각막내피세포 수나 형태는 특이 소견이 없었다. 항생제, 자가혈청 안약, 5% NaCl 안약을 사용하였고, 각막부종이 호전되어 추적 관찰 중이다....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Daihan angwa haghoi jabji Vol. 62; no. 8; pp. 1135 - 1140
Main Authors 이동영(Dongyoung Lee), 한겨레(Gyu Le Han), 임동희(Dong Hui Lim), 정태영(Tae Young Chu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안과학회 15.08.2021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백내장수술 후 무수정체안에서 나타나는 브라운 맥린증후군의 증례를 경험하여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증례 1) 4년 전 좌안 백내장수술을 받고 무수정체 상태인 54세 말판증후군 여성이 안과 검사 중 우연히 좌안의 주변부 각막부종이 발견되었다. 각막 중심부는 정상이나 주변부가 전체적으로 융기되어 있었고, 환자도 이물감, 통증, 눈물 흘림 등의 증상을 호소했다. 경면현미경검사상 각막내피세포 수나 형태는 특이 소견이 없었다. 항생제, 자가혈청 안약, 5% NaCl 안약을 사용하였고, 각막부종이 호전되어 추적 관찰 중이다. (증례 2) 11년 전 양안 백내장수술 후 좌안은 무수정체 상태로 지내던 61세 여자 환자가 황반원공에 대한 수술 후 2개월째에 좌안 각막 주변부의 미란과 부종이 확인되었다. 경면현미경검사상 각막내피세포 수나 형태는 특이 소견이 없었다. 5% NaCl, 인공눈물 점안하며 경과를 보았고, 각막 중앙부 침범 없이 주변 각막부종도 악화되지 않아 추적 관찰 중이다. 결론: 브라운 맥린증후군은 드문 질환이지만, 백내장수술 후 무수정체 상태의 환자에서 수년 내 각막 주변부로 부종이 나타난다면 그 가능성을 고려해봐야 한다. Purpose: To report two rare cases of Brown McLean syndrome after cataract surgery in a patient with aphakia. Case summary: (Case 1) A 54-year-old woman with Marfan’s syndrome who had aphakia and peripheral corneal edema after left eye cataract surgery 4 years ago. The patient had an elevated lesion in the peripheral cornea without involving the central cornea, and had symptoms of pain, irritation and tearing. Specular microscopy showed normal endothelial cell density and morphology in the edematous cornea. The peripheral corneal edema improved after use of antibiotics, autoserum eyedrops and 5% NaCl eyedrops. (Case 2) A 61-year-old woman with aphakia in her left eye after bilateral cataract surgery 11 years ago, underwent surgery for a macular hole in both eyes. The patient developed peripheral corneal erosions and edema in the left eye 2 months after the surgery. Specular microscopy showed normal endothelial cell density and morphology. The peripheral corneal edema was static over the years while using 5% NaCl eyedrops and artificial tears, and did not progress to involve the central cornea. Conclusions: Brown McLean syndrome is a rare disease but the possibility should be considered if a patient with aphakia after cataract surgery has peripheral corneal edema for several years. KCI Citation Count: 0
ISSN:0378-6471
2092-93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