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구된 인공수정체 공막고정 및 홍채고정의 단기 임상결과 비교

목적: 인공수정체 탈구의 치료법으로서 인공수정체 홍채고정술과 공막고정술을 시행 받은 환자들의 술 후 전방 깊이, 인공수정체의 기울어짐과 중심이탈, 굴절력의 변화 등을 비교하였다. 대상과 방법: 인공수정체 공막고정술 환자 10명 10안, 인공수정체 홍채고정술 환자 8명 8안을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수술 전 시력 검사, 안압 검사, 세극등 현미경 검사, 안저 검사 및 굴절검사를 시행하였고 각막 곡률, 안축장의 길이, 전방의 깊이를 측정하였다. 수술 후 1일, 1주일, 1개월, 2개월째 경과관찰 하였으며 시력 검사, 안압...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Daihan angwa haghoi jabji Vol. 58; no. 10; pp. 1131 - 1137
Main Author 이유림(You lim Lee), 김민호(Min Ho Kim), 박율리(Yu Li Park), 나경선(Kyung Sun Na), 김현승(Hyun Seung Kim)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안과학회 01.10.2017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0378-6471
2092-9374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인공수정체 탈구의 치료법으로서 인공수정체 홍채고정술과 공막고정술을 시행 받은 환자들의 술 후 전방 깊이, 인공수정체의 기울어짐과 중심이탈, 굴절력의 변화 등을 비교하였다. 대상과 방법: 인공수정체 공막고정술 환자 10명 10안, 인공수정체 홍채고정술 환자 8명 8안을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수술 전 시력 검사, 안압 검사, 세극등 현미경 검사, 안저 검사 및 굴절검사를 시행하였고 각막 곡률, 안축장의 길이, 전방의 깊이를 측정하였다. 수술 후 1일, 1주일, 1개월, 2개월째 경과관찰 하였으며 시력 검사, 안압 검사, 세극등 현미경 검사 및 굴절 오차와 전방의 깊이, 인공 수정체의 기울어짐과 중심이탈을 측정하였다. 결과: 인공수정체 공막고정술을 시행한 군과 홍채고정술을 시행한 군을 비교하였을 때 수술 전, 후의 나안시력(uncorrected visual acuity, UCVA) 및 교정시력(best corrected visual acuity, BCVA), 굴절력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홍채고정술을 시행하는 경우에 공막고정술을 시행한 경우에 비하여 유의하게 전방의 깊이가 깊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intraocular lens (IOL) tilting은 공막고정술에 비해 홍채고정술을 시행하였을 때 유의하게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인공수정체 홍채고정술을 시행한 군은 공막고정술을 시행한 군에 비하여 인공수정체의 기울어짐이 유의하게 커지며 전방의 깊이는 깊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이를 바탕으로 인공수정체 탈구 환자에서 수술 방법을 선택할 때 고려해 볼 수 있겠고 인공수정체의 도수를 결정할 때 이 변화 정도를 분석하여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o compare clinical outcomes between iris fixation and scleral fixation as treatments for dislocated Intra Ocular Lens. Methods: Ten eyes of 10 patients underwent scleral fixation (scleral fixation group) and 8 eyes of 8 patients underwent iris fixation (iris fixation group) were enrolled in this retrospective study. In each group, visual acuity and intra ocular pressure, slit lamp examination, fundus examination, refraction, keratometry, axial length and anterior chamber depth were measured before the surgery. Regular follow up was made 1 day, 1 week, 1 month, and 2 months after surgery and visual acuity, intra ocular pressure, slit lamp exam, refractory error, anterior chamber depth, intraocular lens (IOL) tilting, and decentration were measured at each visit.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uncorrected visual acuity (UCVA),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BCVA), and refractive error for patients with iris and scleral fixation before and after surgery. Patients with iris fixation had significantly deeper anterior chamber depth (ACD) and more IOL tilting than patients with scleral fixation. Conclusions: In this study, the iris fixation group tended to have more IOL tilting and deepening of anterior chamber depth than the scleral fixation group. We can use this information to choose the appropriate surgical method for dislocated IOL and to select of new IOL. KCI Citation Count: 1
ISSN:0378-6471
2092-93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