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rning: Full texts from electronic resources are only available from the university network. You are currently outside this network. Please log in to access full texts.
배양된 사람 각막내피세포에서 Cyclosporine A로 유도된 노화의 효과
목적: 생체 외에서 배양된 사람 각막내피세포에서 cyclosporine A (CsA)로 인한 노화의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사람 각막내피세포를 배양하고 0-100 μM CsA와 incubation을 시행하였다. 노화 연관 베타 갈락토시다제(senescenceassociated β-Galactosidase, SA-β-gal) 염색을 시행하였다. WST-8 분석 키트를 사용하여 미토콘드리아 탈수소효소의 활성을 평가하고, JC-1 dye를 이용하여 미토콘드리아막 전위(ΔΨm)를 측정하였다. 세포 내와 미토콘드라아에...
Saved in:
Published in | Daihan angwa haghoi jabji Vol. 61; no. 9; pp. 999 - 1009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안과학회
30.09.2020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0378-6471 2092-9374 |
Cover
Summary: | 목적: 생체 외에서 배양된 사람 각막내피세포에서 cyclosporine A (CsA)로 인한 노화의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사람 각막내피세포를 배양하고 0-100 μM CsA와 incubation을 시행하였다. 노화 연관 베타 갈락토시다제(senescenceassociated β-Galactosidase, SA-β-gal) 염색을 시행하였다. WST-8 분석 키트를 사용하여 미토콘드리아 탈수소효소의 활성을 평가하고, JC-1 dye를 이용하여 미토콘드리아막 전위(ΔΨm)를 측정하였다. 세포 내와 미토콘드라아에서 활성 산소 형성을 측정하였다. 세포 내와 미토콘드리아의 칼슘 수치를 각각 Fluo-4와 Rhod-2를 통해 측정하였다. 단백질 발현은 웨스턴 블롯(western blot)에 의해 평가되었다.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CsA는 SA-β-gal 양성 세포의 비율을 증가시켰고(p=0.003) 미토콘드리아 탈수소효소의 활성과 ΔΨm을 감소시켰다(p=0.029, p=0.004). 세포 내 및 미토콘드리아의 활성 산소는 CsA와 배양하는 동안 증가하였다(p=0.005). 100 μM의 CsA에서 미토콘드리아 칼슘 수치가 높아진 반면(p=0.001), 세포 내 칼슘 수치는 낮아졌다(p=0.029). CsA는 GSK3β와 ERK1/2를 활성화시키고 ZO-1 발현을 감소시켰다.
결론: 사람 각막내피세포에서 CsA는 산화 스트레스의 유도와 미토콘드리아, GSK3β 및 ERK1/2 경로를 통해 노화를 유도한다. 따라서 고농도의 CsA 사용시 주의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Purpose: To investigate the in vitro effect of cyclosporine A (CsA)-induced senescence on human corneal endothelial cells (HCECs).
Methods: HCECs were cultured and incubated with 0-100 μM CsA. Senescence-associated β–galactosidase (SA-β-gal) staining was performed. Mitochondrial dehydrogenase activity was assessed using a WST-8 assay kit and mitochondrial membrane potential (ΔΨm) was measured using JC-1 dye. Intracellular and mitochondrial forma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was measured with 2’,7’-dichlorodihydrofluorescein diacetate and MitoSOX probes. Intracellular and mitochondrial calcium levels were measured using Fluo-4 and Rhod-2, respectively. Protein expression was evaluated by Western blotting.
Results: CsA increased the percentage of SA-β-gal-positive cells (p = 0.003) and decreased mitochondrial dehydrogenase activity and ΔΨm in a dose-dependent manner (p = 0.029, p = 0.004). Intracellular and mitochondrial ROS levels increased during incubation with CsA (p = 0.005). CsA at 100 μM increased mitochondrial calcium levels (p = 0.001), whereas intracellular calcium levels decreased at 100 μM CsA (p = 0.029). CsA activated GSK3β and ERK1/2 and reduced ZO-1 expression.
Conclusions: CsA induces senescence in HCECs through oxidative stress and via mitochondria-, GSK3β-, and ERK1/2-dependent pathways. Thus, concentrations of CsA should be monitored.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0378-6471 2092-937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