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 프로젝트 생산성 평가를 위한 측정 기준 수립
In general construction project planning ratio of manpower and quantity of outputs produced, such as the construction estimate standard, is used as the criterion for labor productivity. This method is highly effective in construction projects with repetitive work, however, there is a limit to apply...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23(3) Vol. 23; no. 3; pp. 3 - 12 |
---|---|
Main Authors | , , , , , , , ,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건설관리학회
01.05.2022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005-6095 2465-9703 |
Cover
Loading…
Summary: | In general construction project planning ratio of manpower and quantity of outputs produced, such as the construction estimate standard, is used as the criterion for labor productivity. This method is highly effective in construction projects with repetitive work, however, there is a limit to apply in large-scale projects with high complexity. This is because the influence of non-work time caused by various work interruption factors that act complexly on the productivity of the project is greater than the average labor productivity derived from the performance data of the project.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a productivity measurement method that can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of construction works and the cause of non-working time. To this end, first, detailed work processes and their non-work factors for each work type are defined, and the Adv-FMR technique is developed for quantitatively measuring them. Next, based on the concept of obtainable productivity, methods for comparative productivity analysis by work type, evaluating non-work factors, and deriving productivity improvement methods are proposed. Finally, a case study is conducted to validate that the analysis results based on Adv-FMR data can support the decision-making of construction managers on productivity management. 일반적인 건설 프로젝트에서는 계획 수립에 표준품셈 등 작업 물량-투입 품의 비율을 생산성의 기준으로 활용한다. 이러한 방식의 생산성 기준은 표준화된 반복작업이 많은 프로젝트에서 실효성이 높으나, 복잡성이 높은 대규모 프로젝트의 표준적인 생산성 관리 기준으로 활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는 기존 프로젝트의 실적 데이터로부터 추출한 평균적 작업생산성보다는 당해 프로젝트의 생산성에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다양한 작업중단 요인으로 인해 발생하는 비작업시간의 영향성이 크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세부작업 프로세스에 작용하는 비작업요인의 영향성 산출을 통해 생산성을 평가하고 관리 포인트의 우선순위를 도출할 수 있는 생산성 측정 기준을 수립한다. 이를 위해 먼저 세부작업 프로세스와 유형별 비작업요인을 정의한 후, 이를 정량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기법을 제안한다. 그리고 획득가능 생산성 개념을 활용하여 개선 가능한 생산성 향상의 정도와 각 비작업요인별 생산성 저하 영향도를 평가하는 방법론을 수립한다. 마지막으로 실제 현장에서 수집한 생산성 데이터를 토대로 사례분석을 수행하여 본 연구결과가 건설관리자에게 주요 생산성 관리 포인트에 대한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음을 검증한다.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2216054075523 |
ISSN: | 2005-6095 2465-97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