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라이다 자료를 활용한 수목의 개체수 및 수고 추출
The acquisition of the forest resource information has depended on a partial sampling method or aerial photographs which demand a lot of effort and time because of the vast areas and the difficult approach. For the acquisition of the forest resource information, there have been the optical remote-se...
Saved in:
Published in | 지적과 국토정보 Vol. 46; no. 1; pp. 87 - 100 |
---|---|
Main Authors |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국토정보공사
01.06.2016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508-3384 2508-3392 |
Cover
Summary: | The acquisition of the forest resource information has depended on a partial sampling method or aerial photographs which demand a lot of effort and time because of the vast areas and the difficult approach. For the acquisition of the forest resource information, there have been the optical remote-sensing and the multi-spectrum image to offer only horizontal distributions of trees, but a new technological approach, such as Airborne LiDAR, is more necessary to acquire directly three dimensional information related to the forest terrains and trees' features. This paper proposes an algorithm for the forest information extraction such as trees' individual numbers and the heights of trees by using LiDAR data. Especially, this proposed algorithm adopts a region growing method for the extraction of the vegetation-point and extracts the forest information using morphological features of trees. 산림자원 관련 정보 취득을 위한 산림자료의 조사 및 측정은 방대한 면적, 불리한 접근성 등의 요인에 의하여 많은 시간과 노력이 요구되는 항공사진 분석이나 부분적인 표본조사에 의존하여 왔다. 따라서 정확한 산림자원정보 취득을 위해서는 산림의 수평적 분포에 대한 정보만을 제공하는 광학 원격탐사 기술 및 다중분광영상 보다는 밀도가 높은 산림에서도 산림지형 및 임목의 특성에 관련된 정보의 직접 취득이 가능한 항공라이다와 같은 기술적 접근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항공라이다 자료를 이용하여 수목의 개체수 및 높이와 같은 산림정보를 자동으로 추출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제시하였다. 특히 불규칙 점군자료에서 식생점을 추출하기 위한 방법으로 영역확장법을 적용하였고 수목의 수관 모양에 대한 형태학적 특징을 이용하여 수목의 개체수 및 높이를 추출하였다.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1625654348714 G704-002069.2016.46.1.001 |
ISSN: | 2508-3384 2508-339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