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金匱玉函經』과 『宋本傷寒論』의 白虎湯 및 白虎加人蔘湯 湯證에 대한 비교 고찰
연구목적: 《금궤옥함경》과 《송본상한론》에서 백호탕 및 백호가인삼탕 탕증 관련 조문을 비교, 분석하여 양자의 관점 상의 차이를 발견한다. 연구방법: 《송본》과 《옥함》이 서로 다른 형성과정을 통해 수립된 상이한 전승일 수 있다는 가정 하에 양자를 비교적 시각에서 객관적으로 분석, 고찰한다. 관련 조문 비교를 통하여 다른 곳을 찾아내고, 다른 곳을 중심으로 전체적 맥락을 종합적으로 분석, 고찰하여 관점 상의 차이를 이끌어낸다. 결과 및 결론: 《송본》이 두 탕증의 관계에 대해 애매하고 모순되는 부분이 많은데 비하여, 《옥함》은 두 탕...
Saved in:
Published in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Vol. 32; no. 2; pp. 111 - 134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한의학원전학회
30.05.2019
Journal of Oriental Medical Classics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Cover
Loading…
Summary: | 연구목적: 《금궤옥함경》과 《송본상한론》에서 백호탕 및 백호가인삼탕 탕증 관련 조문을 비교, 분석하여 양자의 관점 상의 차이를 발견한다.
연구방법: 《송본》과 《옥함》이 서로 다른 형성과정을 통해 수립된 상이한 전승일 수 있다는 가정 하에 양자를 비교적 시각에서 객관적으로 분석, 고찰한다. 관련 조문 비교를 통하여 다른 곳을 찾아내고, 다른 곳을 중심으로 전체적 맥락을 종합적으로 분석, 고찰하여 관점 상의 차이를 이끌어낸다.
결과 및 결론: 《송본》이 두 탕증의 관계에 대해 애매하고 모순되는 부분이 많은데 비하여, 《옥함》은 두 탕증의 관계가 명확하며 그 의사증(擬似證)까지 체계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송본》의 입장에서 《옥함》의 주된 특징은 두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송본》에서 표증이 있으면 백호탕을 쓸 수 없다고 하여 백호가인삼탕이 배제되나 《옥함》은 오히려 표증이 있는 경우가 백호가인삼탕의 적응증이라고 하였다. 둘째 《송본》에서 백호탕의 잡병 금기는 주석으로 축소되어 그 의미가 분명하지 않으나, 《옥함》은 170조 아래 백호탕 잡병 3금을 별도로 제시하고 그에 이어 관련 조문들을 유기적으로 배열함으로써 백호탕증과 그 의사증과의 관련 및 증치(證治)에 대해 상세하게 논구하였다. Objectives : To identify differences in perspective between 『Jinguiyuhanjing』 and 『Songbenshanghanlun』 in regards to Baihutang and Baihujiarenshentang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relevant verses of the two texts.
Methods : Comparative analysis was undertaken based on the hypothesis that the two texts are relatively unrelated to each other in their transmission. Relevant verses were examined to identify their differences, followed by analysis of the overall context based on these variations to determine the difference in perspective between the two texts.
Results & Conclusions : While in 『Songbenshanghanlu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patterns were ambiguous and conflicting at times, in 『Jinguiyuhanjing』 the relationship was clear-cut, and similar patterns that could be mistaken were systematically explained. From the perspective of 『Songbenshanghanlun』, the key traits of 『Jinguiyuhanjing』 could be summarized into two. First, in 『Songbenshanghanlun』, it says that if there are exterior symptoms, Baihutang cannot be applied, which naturally excludes Baihujiarenshentang. However in 『Jinguiyuhanjing』, exterior symptoms constitute the Baihujiarenshentang pattern. Second, in 『Songbenshanghanlun』 contraindication of Baihutang concerning miscellaneous symptoms are reduced in the form of footnotes which meaning is unclear, while in 『Jinguiyuhanjing』 the three points of contraindication of Baihutang are listed separately under verse no. 170, with relevant verses listed organically, explaining in great detail the Baihutang pattern, its relation to similar patterns and treatment. KCI Citation Count: 1 |
---|---|
ISSN: | 1229-8328 2713-850X |
DOI: | 10.14369/jkmc.2019.32.2.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