炊沙 李汝馪이 만든 心象空間, ‘鑑谷’

이 글은 16, 17세기를 살다간 문인 炊沙 李汝馪의 삶과 문학을 통해 문화공간 ‘鑑谷’의 사회적 상징성을 밝힌 것이다. 중심부의 삶을 경험한 문화주체의 정치·사회적 원인에 의한 주변부로의 이동에 의해 생성된 문화공간에 대한 탐색이다. 이여빈은 인목대비 폐모론과 영창대군 사사 여론이 조성될 때 全恩說을 주창, ‘請全恩䟽’를 지어 이의 부당함을 간하였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자, 시국에 회의를 품고 榮州 ‘鑑谷’에 ‘鑑湖’를 만들어 은둔했다. 장소는 기억의 주체, 기억의 버팀목이 될 수도 있고, 때에 따라 인간의 기억을 초월하는 기억을 제...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동양한문학연구, 44(0) pp. 181 - 219
Main Author 권경록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동양한문학회 30.06.2016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005-7520
2635-442X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이 글은 16, 17세기를 살다간 문인 炊沙 李汝馪의 삶과 문학을 통해 문화공간 ‘鑑谷’의 사회적 상징성을 밝힌 것이다. 중심부의 삶을 경험한 문화주체의 정치·사회적 원인에 의한 주변부로의 이동에 의해 생성된 문화공간에 대한 탐색이다. 이여빈은 인목대비 폐모론과 영창대군 사사 여론이 조성될 때 全恩說을 주창, ‘請全恩䟽’를 지어 이의 부당함을 간하였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자, 시국에 회의를 품고 榮州 ‘鑑谷’에 ‘鑑湖’를 만들어 은둔했다. 장소는 기억의 주체, 기억의 버팀목이 될 수도 있고, 때에 따라 인간의 기억을 초월하는 기억을 제공할 수도 있다. 여기서 이미지는 특정한 지식 내용의 감각적인 각인을, 그리고 장소는 각인된 기억의 배열과 기억의 재발견에 이용된다. 이여빈이 귀거래 해 만든 ‘감곡’, ‘감호’와 그 주변 지리를 기록하고 표상한 문학의 공간을 탐색해, 그 기록과 문학이 재현해 낸 ‘감곡’, ‘감호’의 사회적 상징성을 찾는 작업은 이여빈의 생각과 생각의 신호를 찾아 의미를 해석해 내는 것이다. 이여빈은 시국의 불만에서 오는 귀거래의 꿈을 ‘감호’에 쏟아 부었다. ‘감곡’은 시대에 대한 불만과 갈등을 녹여내고 自我를 확인하여 구축하는 ‘自我 顯現의 공간’이었으며, 이상을 꿈꾸는 지식인의 심상공간이었다. 그가 광해군대 정국에 회의를 품고 ‘감곡’에 귀거래 해 문학을 생산해 낸 것은 사회·지리적 결과와 질서 속에서의 인간의 장소 점유와 문화의 생산임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set out to shed light onto the social symbolism of 'Gamgok', a cultural space, through the life and literature of Chuisa Lee Yeo-bin, a literary figure that lived in the 16th and 17th century. The study made an inquiry into a cultural space created by the move of a cultural subject that experienced life at the center and was pushed out to the margin by political and social causes. Lee advocated Jeoneunseol and pointed out the injustice of popular opinions to dethrone Inmokdaebi and Yeongchang daegun by writing 'Cheongjeoneunso'. After his appeal was not accepted, he developed doubts about the state of affairs, built 'Gamho' in 'Gamgok', Yeongju, and lived in seclusion there. Places can be the subjects or supports of memories sometimes and offer memories that transcend human memories other times. Here images are used to create sensible inscriptions of certain knowledge content, and places are used to arrange and rediscover inscribed memories. The work of exploring the space of his literature that recorded and represented 'Gamgok' and 'Gamho', which Lee built after resigning from his govern ment office and came home, and its surrounding geography and further searching for the social symbolism of 'Gamgok' and 'Gamho' reproduced by his records and literature would help to find his thoughts and their signals and interpret their meanings. He fulfilled his dream of resigning from a government office and coming home, which was inspired by his complaints with the state of affairs, by investing his time and sweat in 'Gamho'. In other words, 'Gamgok' was a 'place for self-manifestation' where he was able to melt away his complaints and conflicts with the times and also an image space for a classical scholar dreaming of an ideal. He had doubts about the political situation during the reign of King Gwanghaegun, resigned from his government office, came home, and created literature, and those moves of his were the products of a man occupying a space and creating culture in the middle of social and geographical outcome and order. KCI Citation Count: 3
Bibliography:G704-001663.2016.44..005
ISSN:2005-7520
2635-442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