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영어교육 연구 논문의 변천: 코퍼스 기반 분석

It has been about 20 years since the English subject was formally taught in public elementary schools in Korea. The present research aims to analyze the studies regarding 'primary English' implemented in Korea during the time period. I have investigated 6,467 theses or research papers in t...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9(2) Vol. 19; no. 2; pp. 11 - 21
Main Authors 최원경, Choi, Wonkyu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콘텐츠학회 01.02.2019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4877
2508-6723
DOI10.5392/JKCA.2019.19.02.011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It has been about 20 years since the English subject was formally taught in public elementary schools in Korea. The present research aims to analyze the studies regarding 'primary English' implemented in Korea during the time period. I have investigated 6,467 theses or research papers in total that were published in Korea with the help of the corpus programs Utagger and WordSmith Tools. The results show that for the last 20 years the number of overall studies appears to have increased since the year 1997, although the recent trend seems to be in recession. The research scope ranges from 'teaching-learning interaction' to 'curriculum' and 'assessment', which have been steadily investigated for 20 years. Furthermore, researchers sometimes appear to have followed the English education policy by conducting particular investigations like 'immersion program' or 'native English speaking teachers' in a certain time period. Recently, researchers started to have interest in the cutting-edge ICT. In conclusion, the academic field of 'primary English' in Korea has grown in quantity, and the spectrum of research areas has been expanded for the past 20 years. It is hoped that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ill help set a new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 우리나라의 공립 초등학교의 정규교육과정에서 '영어' 과목을 가르치기 시작한 것은 1997년으로 이제 20년 정도의 시간이 지났다. 본 연구는 과거 20년 동안에 초등 영어 관련 연구들을 되짚어봄으로써, 향후 초등영어 교육이 나아갈 방향을 탐색하려 한다. 이를 위하여, 국내에 발표된 석 박사 학위논문과 학술지게재 논문을 검색하여(총 6,467편), 이들 연구의 '제목'을 코퍼스 분석 프로그램인 Utagger와 WordSmith Tools를 통해 빈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지난 20년 동안 '초등 영어' 논문편수는 꾸준히 성장하는 추세를 보였지만, 최근에는 다소 침체된 것으로 보인다. 연구 주제로는 교수 학습 관련 영역을 포함하여 교육과정, 평가, 의사소통 기능 등과 같이 20년간 꾸준히 수행된 분야가 있는가 하면, 당시 교육정책의 기조에 따라 몰입, 원어민 등과 같이 특정 기간에 집중적으로 연구된 분야도 있었다. 최근에는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에 따라 스마트 교육, ICT 관련 연구가 많이 진행되는 것으로 보인다. 결론적으로, 지난 20년 동안 초등 영어 교육 분야는 양적 측면에서 괄목할 만한 성장을 했고 연구의 스펙트럼도 다양해졌다는 성과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가 향후 초등 영어 교육의 방향을 설정하는데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1909469054582
ISSN:1598-4877
2508-6723
DOI:10.5392/JKCA.2019.19.0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