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식수술 후 백내장수술 시에 Shammas-PL 공식을 이용한 인공수정체도수계산

목적: 라식수술 과거력이 있는 환자의 백내장수술 시에 Shammas-PL 공식을 이용했을 때 인공수정체도수계산 방법을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2018년 9월부터 2019년 9월까지 본원에서 백내장수술을 시행한 환자 중 라식수술의 과거력이 있는 환자 29명 41안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 전 안축장, 전방깊이, 각막곡률을 측정하였고, 인공수정체도수계산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Shammas-PL (post laser in-situ keratomileusis, post LASIK) 공식을 이용하였다. 수술 전 굴절예측치와 수...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Daihan angwa haghoi jabji Vol. 62; no. 2; pp. 201 - 206
Main Authors 박세영(Se Young Park), 곽주영(Joo Young Kwag), 최진석(Jin Seok Choi), 박규홍(Kyu Hong Pak), 정성근(Sung Kun Chu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안과학회 15.02.2021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0378-6471
2092-9374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라식수술 과거력이 있는 환자의 백내장수술 시에 Shammas-PL 공식을 이용했을 때 인공수정체도수계산 방법을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2018년 9월부터 2019년 9월까지 본원에서 백내장수술을 시행한 환자 중 라식수술의 과거력이 있는 환자 29명 41안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 전 안축장, 전방깊이, 각막곡률을 측정하였고, 인공수정체도수계산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Shammas-PL (post laser in-situ keratomileusis, post LASIK) 공식을 이용하였다. 수술 전 굴절예측치와 수술 후 현성굴절검사값을 이용하여 평균절대오차와 평균산술오차를 구하여 정확도를 파악하였다. 결과: 전체 41안 중 15안(36.6%)에서 수술 전의 굴절예측치와 비교해서 수술 후 상대적으로 원시로 이행되었고, 25안(61%)에서 상대적으로 근시 이행을 보였으며, 1안(2.4%)은 수술 전 굴절예측치와 동일하였다. 백내장수술 전 굴절이상치는 수술 후 근시, 정시, 원시의 이행과는 관련성이 없었다(p>0.05). 평균절대오차는 0.63 ± 0.57 diopter (D)였고, 원시로 이행한 경우의 평균절대오차는 0.41 ± 0.35 D, 근시로 이행한 경우의 평균절대오차는 0.78 ± 0.63 D였다. 결론: 라식수술 후 백내장수술 시에 Shammas-PL 공식을 이용하여 인공수정체도수계산을 했을 때 술 후 근시로 이행하는 경우가 더 많았고, 원시로 이행한 경우보다 근시로 이행한 경우의 평균절대오차가 더 컸으므로 목표 굴절예측치보다 더 원시쪽으로 인공수정체도수를 결정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Purpose: To calculate the intraocular lens (IOL) power using the Shammas-PL formula after laser in-situ keratomileusis (LASIK). Methods: Forty-one eyes of 29 patients that had undergone cataract surgery from September 2018 to September 2019 after LASIK were enrolled in this study. A preoperative AL-Scan® (Nidek Co., Gamagori, Japan) was used to measure the axial length, anterior chamber depth, and corneal curvature. An IOL power calculation was performed using the Shammas-PL (post LASIK) formula. Mean absolute error (MAE) and mean arithmetic error (MARE) were calculated using preoperative manifest refraction and postoperative manifest refraction. Results: Of the 41 eyes, 15 eyes (36.6%) were relatively hyperopic-shifted after surgery compared to the predicted refractive error before surgery, 25 eyes (61%) showed a relative myopic shift, and one eye (2.4%) showed no change with respect to the previous refractive predicted error. Refractive errors before cataract surgery were not related to myopic, emmetropic, or hyperopic shifting after surgery (p > 0.05). Conclusions: When cataract surgery using the Shammas-PL formula was performed after LASIK, myopic shifting was more common than hyperopic shifting. The MAE was greater in myopic-shifted cases than that of hyperopic-shifted cases. Thus, it is better to determine IOL power toward the hyperopic side than the target refractive prediction. KCI Citation Count: 0
ISSN:0378-6471
2092-93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