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한 융합 교육 평가틀의 제안
이 연구의 목적은 융합 교육의 실행을 통해 나타나는 학생 성취의 증거를 평가하는 데 활용할 수 있는 평가틀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융합 교육 분야의 교육 및 연구전문가 일곱 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행하였다. 사전에 시행한 서면 설문을 바탕으로 여섯 개의 초점 질문을 구성하여 인터뷰를 실행한 후 논의 결과를 전사하여 언어적 혹은 비언어적으로 합의한 응답(C), 의견의 불일치를 보인 응답(D), 개별적이고 독특한 응답(I)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전문가들은 인지적 변화를 넘어서는 행동의 변화, 심미적 감성의...
Saved in:
Published in | 교과교육학연구 Vol. 22; no. 6; pp. 386 - 399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31.12.2018
교과교육연구소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975-3217 2671-8324 |
DOI | 10.24231/rici.2018.22.6.386 |
Cover
Summary: | 이 연구의 목적은 융합 교육의 실행을 통해 나타나는 학생 성취의 증거를 평가하는 데 활용할 수 있는 평가틀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융합 교육 분야의 교육 및 연구전문가 일곱 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행하였다.
사전에 시행한 서면 설문을 바탕으로 여섯 개의 초점 질문을 구성하여 인터뷰를 실행한 후 논의 결과를 전사하여 언어적 혹은 비언어적으로 합의한 응답(C), 의견의 불일치를 보인 응답(D), 개별적이고 독특한 응답(I)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전문가들은 인지적 변화를 넘어서는 행동의 변화, 심미적 감성의 강조, 인지/과정기능/정의/실천 범주의 구성, 융합 교육의 효과 변인으로서의 고유성 부각에 대해 동의하였다. 융합 교육의 성취증거로서 기초 학문의 지식이나 기능 등의 소양이 제시되는 것에 대해서는 의견의 불일치를 보였으며 사고력의 명확한 구분 및 재정의에 대해서는 필요성에는 공감하나 광범위한결론을 도출하지 못하였다. 전문가들의 의견을 바탕으로 융합 교육의 평가틀로서 융합적 사고, 융합과정기능, 융합 태도, 참여와 실천의 네 가지 범주를 제안하였다. 융합적 사고의 하위 변인은 비판적 사고, 연관적 사고, 창조적 재해석 능력이며, 융합과정기능 범주의 하위 변인은 문제해결능력, 설계와 개선, 미디어 리터러시, 협동적 의사소통능력으로 구성하였다. 융합 태도 범주의 하위 변인은 융합에의 의지와 신념, 차이에 대한 이해와 수용, 다양한 분야에 대한 흥미, 심미적 감성이며, 참여와 실천 범주의 하위 변인은 가치의 인식과 행동의 변화, 개인·공동체·환경 간의 연결성에 기초한 실행, 융합적 관점에 근거한 실천의 확산과 재생산으로 구성하였다. 이 연구에서 제안한 융합 교육 평가틀의 교육적 활용방안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assessment framework for evaluating the students’ achievement in integrated education. The focus group interview involved seven experts who had over ten years’ experience in integrated education.
Six focus question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written questionnaire done by these experts. The interview was transcribed, analyzed and categorized into consensus (C), disagreement (D) and individual/idiosyncratic (I) responses. The interviewees agreed on the importance of change in action, emphasis on aesthetic sensitivity, composition of four categories (cognition/process/affectivity/ action), and uniqueness as variables for the effect of integrated education. However, there was a lack of consensus on whether the basic knowledge and process in each discipline should be included as assessment factors or not. There were agreements on the need to distinguish and redefine the thinking skills, but the broad conclusion was not made. As a result, four categories and fourteen variables were suggested; integrated thinking (critical thinking, associative thinking, creative reinterpretation skills), integrated process and skills (problem solving skills, design and improvement, media literacy, cooperative communication skills), attitude toward integration (willingness and belief for integration, comprehension and tolerance about difference, interests in various disciplines, aesthetic sensitivity), and holistic approach to participation and practice (recognition of value and change of action, practice based on connectivity among individual, community and environment, expansion and reproduction of practice with an integrated view). The educational use of the assessment framework is also discussed in the present study. KCI Citation Count: 2 |
---|---|
ISSN: | 1975-3217 2671-8324 |
DOI: | 10.24231/rici.2018.22.6.38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