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상의 교육콘텐츠로서의 의미: 교육적 효과에 대한 미국 문헌 분석을 중심으로

As contemplative education has been increasingly incorporated in schools in the US, this study aims to review literature on contemplative education for teachers and students in the US and to explore pedagogical meanings of meditation. I focus my analysis on research journals that include teacher and...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7(9) Vol. 17; no. 9; pp. 606 - 618
Main Authors 민희정, Min, Hee Ju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콘텐츠학회 01.09.2017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4877
2508-6723
DOI10.5392/JKCA.2017.17.09.606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As contemplative education has been increasingly incorporated in schools in the US, this study aims to review literature on contemplative education for teachers and students in the US and to explore pedagogical meanings of meditation. I focus my analysis on research journals that include teacher and/or student participants incorporating mindfulness in school settings. I searched "mindfulness" and "education" through Web of Science and explored organizations or associations related to contemplative practices and education. I then analyzed the subjects on research purpose, research methods, and results. In the results, quantitative research on teachers' stress reduction dominated the research on contemplative education and quantitative research on teachers' efficacy and effectiveness with mindfulness followed. Contemplative research for students focused on their stress reduction and cognitive,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Contemplative education should be involved in educational settings as pedagogical contents for improving teaching and learning. Contemplative education for students should aim to conduct whole-person education and should incorporate a variety of teaching skills and materials using different contemplative practices, including mindfulness, concentration, compassion, yoga, etc. Teachers' support for and positive relationships with their students through mindfulness and compassion meditation is the most important key to encourage students' learning in education. 본 연구는 미국에서 하나의 화두로 떠오르는 명상을 교육적 시각에서 어떻게 연구되어 지고 있는지 연구문헌을 통해 살펴보고, 이에 따른 명상의 교육콘텐츠적 의미를 논하였다. 연구문헌은 1999년부터 2016년까지 발행된 교사와 학생을 대상으로 한 학술지 논문 중 웹오브사이언스(Web of Science)에서 '알아차림(mindfulness)'과 '교육(education)'으로 검색된 논문들 가운데 23편을 선정해 분석했다. 분석기준은 교사와 학생을 대상으로 한 명상 연구 중 연구 주제, 연구 방법,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분석했다. 분석 결과, 교사 명상 연구는 스트레스 감소 효과에 대한 연구가 많았으며 최근 들어 교사 효능감 및 효과성, 교실 운영 등에 대한 양적 연구가 증가되고 있었다.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명상 연구는 스트레스 감소를 비롯해 인지적, 사회적, 정서적 발달에 관한 양적 연구가 진행되고 있었다. 결과적으로, 명상은 교육콘텐츠로서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교육적 효과를 가진 것으로 보인다. 교육콘텐츠로서 사용될 때 명상은 전인교육의 목적을 가지고 발달에 적합한 다양한 방법과 기술을 사용하여 여러 종류의 명상법을 가르치도록 해야 하며, 이때 명상을 통한 정서적 지지와 긍정적 상호작용이 긍정적인 교육 환경을 조성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1730049610906
ISSN:1598-4877
2508-6723
DOI:10.5392/JKCA.2017.17.09.6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