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봄샘촬영술을 이용한 콩다래끼절개술 전후의 마이봄샘 변화 관찰

목적: 콩다래끼절개술 전후로 마이봄샘촬영술을 통해 마이봄샘의 형태 변화 및 마이봄샘의 탈락 정도를 관찰하며, 마이봄샘 기능이상과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본원에서 2017년 3월부터 2017년 6월 사이에 본원 안과에 내원한 5세 이상의 환자 중 콩다래끼로 처음 진단 후 콩다래끼 절개배농술을 시행한 환자 16명을 대상으로 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콩다래끼절개술 전, 시행 1주 후, 시행 1달 후 마이봄샘촬영술을 시행하였으며, 사진들을 분석하여 마이봄샘 점수를 측정하였다. 또한 눈물막 파괴시간, 눈물 분비 검사를 시...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Daihan angwa haghoi jabji Vol. 59; no. 2; pp. 123 - 129
Main Author 정세윤(Se Yoon Chung), 황호식(Ho Sik Hwang), 신민철(Min Chul Shin), 조범주(Bum-Joo Cho), 한소영(So Young Ha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안과학회 01.02.2018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0378-6471
2092-9374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콩다래끼절개술 전후로 마이봄샘촬영술을 통해 마이봄샘의 형태 변화 및 마이봄샘의 탈락 정도를 관찰하며, 마이봄샘 기능이상과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본원에서 2017년 3월부터 2017년 6월 사이에 본원 안과에 내원한 5세 이상의 환자 중 콩다래끼로 처음 진단 후 콩다래끼 절개배농술을 시행한 환자 16명을 대상으로 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콩다래끼절개술 전, 시행 1주 후, 시행 1달 후 마이봄샘촬영술을 시행하였으며, 사진들을 분석하여 마이봄샘 점수를 측정하였다. 또한 눈물막 파괴시간, 눈물 분비 검사를 시행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전체 16명 중 16안이 포함되었으며, 1주째 방문한 환자는 그중 15명(93.8%), 1달째 방문한 환자는 총 11명(68.8%)이었다. 방문 시 연구 대상자들의 나이는 평균 32.9 ± 21.9세였으며, 남자 9명, 여자 7명이었다. 마이봄샘 점수(p=0.092), 눈물막 파괴 시간(p=0.068), 눈물 분비 검사(p=0.972)는 콩다래끼절개술 전후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마이봄샘촬영 결과 콩다래끼절개술 시행 전에는 병변에 염증 소견 및 일부 마이봄샘 소실 소견이 관찰되었고, 콩다래끼절개술 시행 1달 후에는 절개부위 흉터를 제외하고 주변부 마이봄샘들은 정상적으로 관찰되었다. 콩다래끼절개술 시행 전후로 어둡게 관찰되는 부위와 그중 마이봄샘이 관찰되는 영역의 비율을 측정하여 비교하였을 경우, 시행 1달 후 시행 전에 비해 마이봄샘이 관찰되는 영역의 비율이 유의하게 증가하는 소견이 관찰되었다(p=0.041). 결론: 콩다래끼 환자들에서 비접촉 마이봄샘촬영술을 이용하여 관찰 시 절개부위 흉터가 발생하나 주변부의 마이봄샘은 잘 보존되었으며, 콩다래끼절개술 후 생긴 마이봄샘 변화는 마이봄샘 기능이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치지 않았다. Purpose: To examine changes in meibomian glands by indirect meibography after incision and curettage of the chalazion,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meibomian gland drop out and meibomian gland dysfunction. Methods: We performed a prospective study of 16 patients, <5 years of age, who underwent incision and curettage of the chalazion between March 2017 and June 2017. We performed indirect meibography before incision and curettage of the chalazion, and 1 week and 1 month after the procedure. Photographs of meibomian glands were rated according to their meiboscore, the break-up time (BUT) was measured, and Schirmer’s test was performed. Results: Sixteen eyes of 16 patient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Fifteen patients visited 1 week after incision and curettage of the chalazion, and eleven patients visited at 1 month after the procedure. The mean patient age was 32.9 ± 21.9 years.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in the meiboscore (p = 0.092), BUT (p = 0.068), and Schirmer’s test results (p = 0.972) after incision and curettage of the chalazion. In meibography, there were inflammatory changes and partial meibomian gland drop outs at the chalazion lesion before its incision and curettage. At 1 month after the procedure, only scarring remained in the chalazion lesion, and normal surrounding meibomian glands were found near the old lesions. When comparing meibography of the baseline with meibography at 1 month after incision and curettage of the chalazion, the normal area of the meibomian gland significantly increased (p = 0.041). Conclusions: In patients with chalazions, scarring was found after incision and curettage of the lesions, and surrounding meibomian glands were well preserved when determined by indirect meibography.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meibomian gland changes after incision and curettage of the chalazion and meibomian gland dysfunction. KCI Citation Count: 0
ISSN:0378-6471
2092-93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