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간다 북부지역 초등교사학습공동체가 학생의 수업 변화 인식에 미치는 영향

연구목적: 이 연구는 우간다 북부지역에서 수행한 초등교사의 교사학습공동체 운영이 학생의 수업 변화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한다. 연구의 중요성: 교사학습공동체는 교사 간 협동을 통한 현직 교사의 전문성을 개발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특히, 개발도상국에서의 교사학습공동체 운영은 교사 간 협동에 기반한 교사전문성 신장이라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최근 교육개발협력 현장에서 교사학습공동체 운영이 늘어나고 있으나, 교사학습공 동체의 효과성을 분석한 연구는 부족하다. 이에 이 연구는 교사학습공동체가 학생의 수...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국제개발협력연구, 12(4) pp. 145 - 164
Main Authors 박근아, 최영선, 양현화, 임진호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국제개발협력학회 30.12.2020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연구목적: 이 연구는 우간다 북부지역에서 수행한 초등교사의 교사학습공동체 운영이 학생의 수업 변화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한다. 연구의 중요성: 교사학습공동체는 교사 간 협동을 통한 현직 교사의 전문성을 개발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특히, 개발도상국에서의 교사학습공동체 운영은 교사 간 협동에 기반한 교사전문성 신장이라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최근 교육개발협력 현장에서 교사학습공동체 운영이 늘어나고 있으나, 교사학습공 동체의 효과성을 분석한 연구는 부족하다. 이에 이 연구는 교사학습공동체가 학생의 수업 변화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는 점에서 중요성을 가진다. 연구방법론: 이 연구는 교사학습공동체에 참여한 학교에 속한 학생, 교사를 대상으로 기술통계, 평균차이분석(t-test)을 실시하였다. 이 외에도 학생의 수업 변화 인식에 영향을 주는 개인, 교사, 학교 특성을 통제변수로 투입하는 합동최 소자승회귀모형을 통해 인과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교사학습공동체 선정과 정에서 발생하는 편의(bias)를 보정하는 성향점수매칭(PSM)을 적용한 회귀분 석을 통해 교사학습공동체의 고유한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수업 변화의 세부 영역인 수업설계와 학습자중심수업은 교사학습공 동체를 참여한 학생이 더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학습공동 체를 오래 참여한 학교일수록 수업 변화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집단별 평균차이분석(t-test), 합동자승회귀모형(POLS), 성향점수매칭(PSM)에 서도 일관된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및 시사점: 분석결과를 토대로 교사학습공동체가 교사의 전문성을 높이 고, 이는 수업의 변화로 이어진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교사학습공동체가 교육 개발협력에 주는 시사점으로는 개발도상국 심리적 교육 환경을 개선하고, 교사의 자발성에 기초한 전문성 강화를 가능하게 하며. 글로벌 위기를 극복하는 교사전문성 강화를 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Purpos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mpact of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to measure a change of awareness of students in northern Ugandan primary school and provides its implications. Originality: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is important because it is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through cooperation between teachers in schools. Recently,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are being operated in many developing countries but the analysis of studies of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effectiveness is insufficient. It is also important in that it analyzes the causal relations based analysis and the effect of students’ change of awareness as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s unique impact. Methodology: This study identified differences between groups and periods through the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mparing group means (t-test) for students and teachers who belong to each school participating in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s effect was analyzed through regression analysis applying Propensity Score Matching (PSM) that corrects the bias occurring in selecting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Result: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students’ evaluations of teaching effectiveness. This was also found to show consistent effects in comparing group means (t-test), POLS regression model, and Propensity Score Matching (PSM). Conclusions and Implication: This study suggested the following actions to increase teaching effectiveness and bring overall significant changes in class through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improving the psychological learning environment in developing countries, strengthening teachers’ professionalism with their spontaneity in the classroom, and coping strategies during the pandemic further. KCI Citation Count: 1
ISSN:2005-9620
2635-71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