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중초점인공수정체와 연속초점인공수정체의 임상결과 비교

목적: 수정체유화술 후 이중초점인공수정체와 연속초점인공수정체를 양안에 동일 삽입한 환자와 양안에 혼합 삽입한 환자의 임상결과를 비교하였다. 대상과 방법: +3.25D 덧댐굴절력을 가지는 이중초점인공수정체를 양안에 삽입한 환자를 A군, 연속초점인공수정체를 양안에 삽입한환자를 B군, 양안에 각각의 인공수정체를 혼합 삽입한 환자를 C군으로 분류하였다. 각 군당 40안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술 후 3개월에 측정한 원거리, 중간거리 및 근거리 양안 시력과 굴절이상을 의무기록을 통해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A, B, C 세 군의 원거리...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Daihan angwa haghoi jabji Vol. 60; no. 9; pp. 835 - 842
Main Authors 박수환(Su Hwan Park), 김성일(Sung Il Kim), 안정효(Jung Hyo Ahn), 신종훈(Jong Hoon Shin), 김수진(Su Jin Kim), 이지은(Ji Eun Lee)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안과학회 30.09.2019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0378-6471
2092-9374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수정체유화술 후 이중초점인공수정체와 연속초점인공수정체를 양안에 동일 삽입한 환자와 양안에 혼합 삽입한 환자의 임상결과를 비교하였다. 대상과 방법: +3.25D 덧댐굴절력을 가지는 이중초점인공수정체를 양안에 삽입한 환자를 A군, 연속초점인공수정체를 양안에 삽입한환자를 B군, 양안에 각각의 인공수정체를 혼합 삽입한 환자를 C군으로 분류하였다. 각 군당 40안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술 후 3개월에 측정한 원거리, 중간거리 및 근거리 양안 시력과 굴절이상을 의무기록을 통해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A, B, C 세 군의 원거리 시력은 각각 0.04 ± 0.01, 0.05 ± 0.02, 0.04 ± 0.01로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중거리 시력은 각각0.16 ± 0.01, 0.10 ± 0.01, 0.10 ± 0.01로 A군이 나머지 두 군에 비해 낮은 시력을 보였으며 다른 두 군과 통계적 유의성을 보였다(A-B, p=0.031; A-C, p=0.018; B-C, p=1.000). 근거리 시력은 각각 0.05 ± 0.01, 0.24 ± 0.01, 0.13 ± 0.01이었으며 각 군 간에모두 통계적 유의성을 보였다(A-B, p<0.001; A-C, p=0.009; B-C, p=0.003). 결론: 원거리에서 각 군 간의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중거리에서는 B와 C군이 A군보다 우수한 양안 시력을 보였으며, 근거리에서는 A, C, B군 순서로 우수한 양안 시력을 보였다. Purpose: To compare the postoperative clinical outcomes after cataract surgery with implantation of bifocal intraocular lenses (IOLs) and extended depth of focus (EDOF) IOLs. Methods: A total of 60 patie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nd each group included 20 patients of 40 eyes: group A with a +3.25 D bifocal IOL in both eyes, group B with an EDOF IOL in both eyes, and group C with a +3.25 D bifocal in one eye and an EDOF IOL in the other eye.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patients’ medical charts to analyze their binocular uncorrected visual acuities (UCVAs; distant, intermediate, and near) and refraction at postoperative 3 months. Results: The binocular distant UCVAs were 0.04 ± 0.01, 0.05 ± 0.02, and 0.04 ± 0.01 in groups A, B, and C, respectively, and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p > 0.05). The intermediate UCVAs were 0.16 ± 0.01, 0.10 ± 0.01, and 0.10 ± 0.01, respectively, and group A was the lowest (A–B, p = 0.031; A–C, p = 0.018; B–C, p = 1.000). The near UCVAs were 0.05 ± 0.01, 0.24 ± 0.01, and 0.13 ± 0.01, respectively,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A–B, p < 0.001, A–C: p = 0.009; B–C, p = 0.003). Conclusion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three groups in binocular distant UCVA, and groups B and C showed better intermediate UCVAs than group A. Near UCVA was ranked in the order of groups A, C, B. KCI Citation Count: 0
ISSN:0378-6471
2092-93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