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진관측소와 스마트폰 MEMS 센서 기록의 비교분석
A smartphone (SMP) includes a MEMS sensor that can record 3-components motions and has a wireless network device to transmit data in live. These features and relatively low maintenance costs are the advantage of using SMPs as an auxiliary seismic observation network. Currently, 279 SMPs are monitori...
Saved in:
Published i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Vol. 41; no. 5; pp. 513 - 522 |
---|---|
Main Authors |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토목학회
01.10.2021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Cover
Loading…
Summary: | A smartphone (SMP) includes a MEMS sensor that can record 3-components motions and has a wireless network device to transmit data in live. These features and relatively low maintenance costs are the advantage of using SMPs as an auxiliary seismic observation network. Currently, 279 SMPs are monitoring seismic motions. In this study, we compare the SMP records with the seismic station (SS) records to validate SMP records. The data used for comparison are records for five earthquakes that occurred in 2019, which are 321 SS data recorded by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and the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and 145 recorded by SMPs. The analysis shows that the event-term corrected average residual of the SMP MEMS sensor records is 0.59 which indicating that the peak horizontal acceleration by SMP is 1.8 factor bigger than the peak ground acceleration by SS. In addition, the residuals tend to decrease as the installation floor of the smartphone MEMS sensor increases, which is the similar trend with response spectra from SS. 스마트폰은 3축 방향 가속도를 기록할 수 있는 MEMS 센서를 포함하고 있고 무선통신망 장치가 내장되어 실시간으로 진동 데이터를 관측하고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을 기반으로 스마트폰을 지진관측망으로 사용하는 데 큰 장점으로 작용한다. 현재 국내 영남권에 시범적으로 279개의 스마트폰이 설치되어 지진관측망으로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 관측 지진기록의 유효성을 확인하기 위해 국가지진관측망의 지진관측소 기록과 스마트폰의 관측기록을 비교하였다. 비교에 활용된 데이터는 2019년에 발생한 5개의 지진에 대한 기록이며, 기상청과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의 지진관측소에서 기록한 321개의 데이터와 스마트폰에서 기록한 145개의 데이터이다. 최대지반가속도(PGA)를 추출한 후, 지반운동예측식(GMPE)을 스마트폰 기록에 적용하여 PGA와 최대수평가속도(PHA)의 잔차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스마트폰 MEMS 센서 관측기록의 자연대수 평균 잔차는 0.59로 약 1.8배 큰 PHA를 관측하였다. 또한, 스마트폰 MEMS 센서의 설치 층수가 높아질수록 잔차가 줄어드는 경향을 확인하였는데, 이는 지진파 응답스펙트럼의 경향과 비슷하다.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2130637238837 https://doi.org/10.12652/Ksce.2021.41.5.0513 |
ISSN: | 1015-6348 2799-9629 |
DOI: | 10.12652/Ksce.2021.41.5.05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