능동적 수정체유화 역동학과 하방경사 첨단부를 이용한 백내장수술의 각막내피세포에 대한 안정성
목적: 다양한 각막내피세포밀도를 보이는 백내장 환자들에서 능동적 수정체유화 역동학을 이용한 Centurion® Vision System (Alcon, Fort Worth, TX, USA)을 사용하여 하방경사 첨단부 방식으로 백내장수술을 시행한 후 각막내피세포의 안정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백내장수술을 시행한 111명 173안에서 수술 전과 후의 각막내피세포밀도와 형태 지표들을 비교하였으며, 수술 후 각막내피세포밀도의 감소율과 연관된 인자들을 분석하였다. 결과: 수술 전 각막내피세포밀도는 평균 2,511.02 ± 463...
Saved in:
Published in | Daihan angwa haghoi jabji Vol. 61; no. 10; pp. 1135 - 1142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안과학회
30.10.2020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Cover
Loading…
Summary: | 목적: 다양한 각막내피세포밀도를 보이는 백내장 환자들에서 능동적 수정체유화 역동학을 이용한 Centurion® Vision System (Alcon, Fort Worth, TX, USA)을 사용하여 하방경사 첨단부 방식으로 백내장수술을 시행한 후 각막내피세포의 안정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백내장수술을 시행한 111명 173안에서 수술 전과 후의 각막내피세포밀도와 형태 지표들을 비교하였으며, 수술 후 각막내피세포밀도의 감소율과 연관된 인자들을 분석하였다.
결과: 수술 전 각막내피세포밀도는 평균 2,511.02 ± 463.14 cells/mm2 (range, 540-3,390 cells/mm2)였다. 각막내피세포밀도는 수술 후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며(-50.70 cells/mm2, p<0.017) 육각형성과 세포면적변이계수, 그리고 중심각막두께에는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수술 전 각막내피세포밀도가 높을수록(regression coefficient, B=-0.010, p<0.001), 백내장의 핵경화도가 높을수록(B=-3.002, p<0.001), 나이가 적을수록(B=0.167, p=0.040) 각막내피세포밀도의 감소율(%)은 커졌다.
결론: Centurion®을 사용한 하방경사 첨단부 방식은 매우 낮은 각막내피세포밀도의 감소율을 보였으며, 수술 전 각막내피세포밀도가 낮은 것은 술 후 각막내피세포밀도 감소의 위험요인이 아니었다. 따라서, 술 전 각막내피세포밀도가 낮은 환자에서도 핵경화도가 심하지 않은 경우에는 비교적 안전하게 시행할 수 있는 수술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Purpose: To evaluate the safety of active phacoemulsification fluidics with a bevel-down phaco-tip on corneal endothelial cells in patients with various corneal endothelial cell densities (ECDs).
Methods: One hundred and seventy-three eyes of 111 patients who underwent cataract surgery using active phacoemulsification fluidics with a bevel-down phaco-tip technique were consecutively enrolled. We analyzed the postoperative changes in corneal parameters including ECD and clinical factors associated with percent change in ECD.
Results: Preoperative mean ECD was 2,511.02 ± 463.14 cells/mm2 (range, 540-3,390 cells/mm2 ). There was a significant change in postoperative ECD (-50.70 cells/mm2 , p < 0.017), and no significant change in hexagonality or coefficients of variation.
A higher preoperative mean ECD (B = -0.010, p < 0.001), a higher grade of nucleus sclerosis (B = -3.002, p < 0.001), and a younger age (B = 0.167, p = 0.040) were associated with a larger percent change in ECD.
Conclusions: There was very low ECD loss after active phacoemulsification fluidics with a bevel-down phaco-tip. The lower preoperative ECD was not a risk factor for postoperative ECD loss. Therefore, we suggest that active phacoemulsification fluidics with a bevel-down phaco-tip technique can be performed safely in patients with low ECD when nuclear sclerosis is not severe.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0378-6471 2092-937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