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의 또래애착과 휴대전화 의존 간 자기회귀 교차지연효과 검증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또래애착과 휴대전화 의존 사이의 종단적 상호영향 관계를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실시한 ‘한국 아동·청소년 패널조사’ 중학교 1학년 패널 자료 중에서 1, 3, 5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였다. 청소년의 또래애착과 휴대전화 의존 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자기회귀 교차지연 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청소년의 또래애착과 휴대전화 의존 간의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안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또래애착과 휴대전화 의존 간 관계에서 1차년도...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교육연구 Vol. 43; no. 2; pp. 27 - 42
Main Author 송연주(Yeonjoo So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The Institute of Educational research Chonnam National University 31.08.2021
전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교육문제연구소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또래애착과 휴대전화 의존 사이의 종단적 상호영향 관계를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실시한 ‘한국 아동·청소년 패널조사’ 중학교 1학년 패널 자료 중에서 1, 3, 5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였다. 청소년의 또래애착과 휴대전화 의존 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자기회귀 교차지연 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청소년의 또래애착과 휴대전화 의존 간의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안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또래애착과 휴대전화 의존 간 관계에서 1차년도 또래애착이 3차년도 휴대전화 의존에 미치는 영향과 3차년도 휴대전화 의존이 5차년도 또래애착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1차년도 휴대전화 의존이 3차년도 또래애착에 미치는 영향과 3차년도 또래애착이 5차년도 휴대전화 의존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논의 및 함의가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ystematic relationships between peer attachment and mobile phone dependence in Korean adolescents. For this study,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ARCL) was performed to test the longitudinal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peer attachment and mobile phone dependence with the response of 2351 adolescents. This Analysis is performed with the fist-, third-, and fifth-wave panel survey data of middle school 1st grade students from Korean Child-Youth Panel Survey. Results show that, first, the result of the stability coefficient, reflecting the autoregressive coefficients of each variable, show that the peer attachment and outcome(mobile phone dependence) were significantly stable over time. Second, result of the cross-lagged coefficient reflecting the cross-lagged causal effect of peer attachment on the outcome, show that peer attachment(P1)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outcome(O3), and the outcome(O3)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peer attachment(P5). And, outcome(O1)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peer attachment(P3), and peer attachment(P3)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outcome(O5). These results simply that the stronger peer attachment is, the more dependent on mobile phone in the adolescents, which means a focus on peer attachment might be important in the treatment to decrease mobile phone dependence for them. Based on the results, findings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KCI Citation Count: 0
ISSN:1598-4710
2671-77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