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 연구 : 소셜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The purposes of the study are to investigate Koreans' perception about Vietnam by analyzing social big data and to seek changing direction in perception. For the purposes, the texts about Vietnam in Naver Blog and Twitter and the number of search and click for Vietnam in Naver were analyzed by...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9(3) Vol. 19; no. 3; pp. 1 - 9
Main Authors 서은희, 이재성, Seo, Eun Hee, Lee, Jaeseo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콘텐츠학회 01.03.2019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4877
2508-6723
DOI10.5392/JKCA.2019.19.03.001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The purposes of the study are to investigate Koreans' perception about Vietnam by analyzing social big data and to seek changing direction in perception. For the purposes, the texts about Vietnam in Naver Blog and Twitter and the number of search and click for Vietnam in Naver were analyzed by Social Metrics of Daum Soft and Datalab of Naver. The study also analyzed the annual change of their interest in Vietnam based on social media. The results showed that Koreans still remember the Vietnam war, have a positive emotion toward Vietnam, and view Vietnam as a country where we can gain mutual benefit by exchange. The findings also indicated that Koreans perceive Vietnam as a favorite tourist spot regardless of age. Meanwhile, children under 12 showed a different pattern of an annual change in perception. It might be a positive sign that Koreans' interest region toward Vietnam would be diversified because children under 12 would be the central axis of cultural contents. 본 연구는 소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베트남에 대한 한국 국민의 인식을 살펴보고, 베트남에 대한 인식 변화의 방향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수행을 위해 네이버 블로그와 트위터의 소셜 미디어에서 베트남과 함께 언급된 키워드들을 분석하고, 연령층에 따라 베트남에 대한 관심도 변화의 추이를 살펴보았다. 베트남 관련 단어 분석을 통해, 한국 국민들은 여전히 베트남전을 기억하고 있고, 베트남과 인적, 물적 상호 교류를 통해 상호 이익을 얻을 수 있는 국가로 인식하고 있으며, 베트남에 대해 긍정적인 정서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한국 국민들은 연령대와 상관없이 베트남을 매우 선호하는 여행지로 인식하고 있었다. 12세 미만의 관심도 변화 추이가 다른 연령대와는 달리 다양한데, 이는 앞으로 이들이 문화 콘텐츠의 중심축이 될 것이므로 베트남에 대한 관심 영역이 다양해질 수 있는 긍정적인 징후로 보인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1909469054883
ISSN:1598-4877
2508-6723
DOI:10.5392/JKCA.2019.19.03.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