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양한 CAD/CAM 시스템으로 제작된 3 본 고정성 가공의치 지르코니아 코어의 변연 및 내면 적합도 평가
Purpose: This study was aimed to compare the margin and internal fitness of 3-unit zirconia bridge cores fabricated by several CAD/CAM systems using replica technique. Materials and methods: Three unit-bridge models in which upper canine and upper second premolar were used as abutments and upper fir...
Saved in:
Published in | Taehan Chikwa Poch'ol Hakhoe chi Vol. 49; no. 3; pp. 236 - 244 |
---|---|
Main Authors | , , , , , , , ,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치과보철학회
01.07.2011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Cover
Loading…
Summary: | Purpose: This study was aimed to compare the margin and internal fitness of 3-unit zirconia bridge cores fabricated by several CAD/CAM systems using replica technique. Materials and methods: Three unit-bridge models in which upper canine and upper second premolar were used as abutments and upper first premolar was missed, were fabricated. Fourty models were classified into 4 groups (Cerasys$^{(R)}$ (Group C), Dentaim$^{(R)}$ (Group D), KaVo Everest$^{(R)}$ (Group K), $Lava^{TM}$ (Group L)), and zirconia cores were fabricated by each company. Sixteen points were measured on each abutment by replica technique. Statistical analysis was accomplished with two way ANOVA and Dunnett T3 (${\alpha}$=.05). Results: In most systems, there was a larger gap on inter margin than outer margin. In the Group K, overall fitness was excellent, but the incisal gap was very large. In the Group C, marginal gap was significantly larger than Group K, but overall internal gap was uniform (P<.05). The axial gap was under $100\;{\mu}m$ in all system. The difference between internal and external gap was small on Group L and C. However, internal gap was significantly larger than external gap in Group D (P<.05). The fitness of canine was better than second premolar among abutments (P<.05). Conclusion: The marginal and internal gap was within the clinically allowed range in all of the three systems. There was a larger gap on second premolar than canine on internal and marginal surface. In most systems, there was a larger gap on occlusal surface than axial surface. 연구 목적: 본 연구는 다양한 CAD/CAM 시스템에 의해 제작된 지르코니아를 이용한 3-unit 브릿지 코어의 적합도를 "Replica Technique"으로 측정하여 기존 제품들의 내면 및 변연 적합도를 평가해 각 시스템의 적합 특성을 알아보고 임상 적용에 참고 자료로 활용하고자 시행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상악 좌측 제1소구치를 결손치로 하고 상악 좌측 견치, 상악 좌측 제2소구치를 지대치로 하는 3-unit 고정성 가공의치를 구현한 티타늄 모형을 제작하고, 40개의 실험 모형을 제작하였다. 각 모형을 10개씩 분류하고 Cerasys$^{(R)}$ (C군), Dentaim$^{(R)}$ (D군), KaVo Everest$^{(R)}$ (K군), $Lava^{TM}$ (L군)시스템으로 각각 지르코니아 코어를 제작하였다. 제작된 코어는 각 지대치마다 내면에 16개의 점을 선택하고 "Replica Technique"을 이용하여 각 포인트의 간극을 측정하였고 부위별 측정치를 비교, 평가하였다. Two-way ANOVA와 Dunnett T3 analysis를 이용하여 통계 분석하였다(${\alpha}$=.05). 결과: 모든 시스템에서 변연의 외부보다 내부에서 조금 더 큰 간극을 보이는 특징을 보였다. K군의 경우 전반적인 적합도는 우수하였으나 절단부위의 간극이 아주 크게 나타나는 특징을 보였고, C군의 경우 변연부위의 간극은 K군와 비교하여 크지만(P<.05) 전반적인 내면 간극이 다른 시스템에 비해 균일한 특징을 보였다. 축벽의 간극에서는 모든 시스템, 모든 절단부위에서 $100\;{\mu}m$ 미만의 우수한 적합도를 보였다. L군와 C군의 경우 변연의 외측부와 내측부의 간극차이가 적었으나 KaVo Everest$^{(R)}$와 Dentaim$^{(R)}$의 경우 마진 내측이 외측보다 간극이 큰 특징을 보였다(P<.05). 변연과 내면적합도로 나누어 분석하였을 때 K군과 C군이 D군과 L군보다 상대적으로 더 좋은 변연 및 내면 적합도를 보였고(P<.05) 두 지대치 중 견치가 제2소구치보다 더 좋은 적합도를 보였다(P<.05). 결론: 대부분의 시스템에서 변연 부위의 적합도는 임상적으로 허용 가능한 범위에 있었다. 변연 간극과 내면 간극 모두에서 지대치 중에 견치에서보다 제2소구치에서 더 큰 간극을 나타내었다. 또한 대부분의 시스템에서 축벽보다는 교합면 쪽 간극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었다.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1124359115166 https://doi.org/10.4047/jkap.2011.49.3.236 G704-000656.2011.49.03.007 |
ISSN: | 0301-2875 2005-3789 |
DOI: | 10.4047/jkap.2011.49.3.23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