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활동이 공공임대주택 입주자의 주거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정부는 저소득층의 주거안정과 주거복지의 중요성에 따라 공공임대주택을 공급하여 왔다. 이 시기는 1990년대부터 2015년까지로 우리나라 주거복지의 시작기라고 할 수 있으며, 주거기본법이 제정되고 주거급여사업을 본격 시행한 2016년부터를 확대기라고 할 수 있다. LH공사, SH공사 등의 공공임대단지에서는 커뮤니티 활동을 실행하고 있다. 이러한 커뮤니티 활동의 효과에 대한 조사 결과는 주민간의 소통, 단지활력 도움, 거주만족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수요자 중심의 주거복지서비스 제공 역할을 하며, 지역 공동체의 회복 역...
Saved in:
Published in | 대한부동산학회지 no. 50; pp. 59 - 85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부동산학회
30.12.2018
Korea Real Estate Society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5-1054 2713-6981 |
Cover
Summary: | 정부는 저소득층의 주거안정과 주거복지의 중요성에 따라 공공임대주택을 공급하여 왔다. 이 시기는 1990년대부터 2015년까지로 우리나라 주거복지의 시작기라고 할 수 있으며, 주거기본법이 제정되고 주거급여사업을 본격 시행한 2016년부터를 확대기라고 할 수 있다. LH공사, SH공사 등의 공공임대단지에서는 커뮤니티 활동을 실행하고 있다. 이러한 커뮤니티 활동의 효과에 대한 조사 결과는 주민간의 소통, 단지활력 도움, 거주만족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수요자 중심의 주거복지서비스 제공 역할을 하며, 지역 공동체의 회복 역할을 한다. 또한 단지 조사결과에 따른 커뮤니티의 활성화 방안은 첫째, 프로그램에 대한 기획 및 개발, 둘째, 재정 및 전문인력 지원, 셋째, 활동공간의 확보 등을 제시하였다. 한편, 본 논문에서 커뮤니티 활동이 입주자 주거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 지를 통계분석한 결과는 긍정적인 영향이 있으며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은 공공임대주택에서 주거지원서비스로서 커뮤니티의 역할과 효과에 대하여 살펴보고, 커뮤니티 활동이 주거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 지를 검증하였으며, 다가구 등의 매입임대주택을 포함한 향후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Government has provided public housing units for the dwelling stabilization and the housing welfare of the low income class from 1009s to 2015, when housing welfare was started in Korea, and housing welfare of Korea has been expanded in earnest since 2016. Land &Housing Corporation (LH) and Seoul Housing &Communities Corporation (SH) are executing various community activities in public rental housing site, and the result of surveying the activities effect shows that they contribute to residents' communication, vitality and dwelling satisfaction degree. LH and SH provide housing welfare service focused to customers, and play a certain role in reconstructing communities. This study reveals that community activities have an positive effect on residents' satisfaction degree through a statistical analysis, and that to do so planning and development of community programs, financing and experts, and activity space are necessary. This paper searches the role and effect of community as housing support service, verifies which effect on housing satisfaction degree community activities have, and suggests a method for community vitalization of public rental housing sites including purchased rental housing units.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1225-1054 2713-698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