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중·고등학교 시설물별 추정공사비 산정모델 개발

Estimated construction cost is an important index to secure an optimal budget which needs to go into construction projects in the previous of basic design phase. In order for public institutions to calculate the estimated construction cost, the cost per unit area of public buildings is used. However...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22(3) Vol. 22; no. 3; pp. 69 - 78
Main Authors 정의현, 염동준, 김준상, 김영석, Jung, Eui-Hyun, Yeom, Dong-Jun, Kim, Jun-Sang, Kim, Young Suk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건설관리학회 01.05.2021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005-6095
2465-9703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Estimated construction cost is an important index to secure an optimal budget which needs to go into construction projects in the previous of basic design phase. In order for public institutions to calculate the estimated construction cost, the cost per unit area of public buildings is used. However, the current calculation method of the estimated construction cost in public buildings is impossible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many facilities and combin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stimation model in the previous of basic design phase for th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facilities. it is expected that it is possible to estimate the construction cost of th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a reasonable and reliable manner through the estimation model developed in this study. 추정공사비는 기본설계 이전단계에서 건설사업에 투입되어야 하는 적정 예산의 확보를 위해 산정되는 중요한 건설공사비 지표이다. 여러 공공기관에서는 추정공사비를 산정하기 위해 공공건축물 세부 유형별 단위면적당 공사비를 도출하고, 이를 해당 건축물의 연면적에 곱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일부 공공건축물들은 그 시설물의 구성 및 조합이 다양하여 세부 유형별로 단위면적당 공사비를 산정하는 획일화된 현행 추정공사비 산정방법으로는 공공건축물 내 여러 시설물 조합에 따른 특성을 반영할 수 없어 신뢰성 있는 추정공사비를 산정하는데 한계성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조사 및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발주 빈도수 및 누적사업비용의 규모가 크고 시설물의 구성 및 종류가 다양한 초·중·고등학교를 대상으로, 시설물 조합에 따른 추정공사비 산정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초·중·고등학교 시설물별 추정공사비 산정모델 및 분석 방법론을 실무에 적용할 경우 공공발주자는 보다 합리적이고도 신뢰성 있는 초·중·고등학교의 추정공사비 산정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2116954607774
ISSN:2005-6095
2465-97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