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거의 경제 및 지역적 특성이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housing economic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on the ife satisfaction and the self-esteem of the elderly and how their self-esteem mediates the effects of housing economic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on their life satisfaction. The main resu...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8(4) Vol. 18; no. 4; pp. 467 - 479 |
---|---|
Main Authors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콘텐츠학회
01.04.2018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4877 2508-6723 |
DOI | 10.5392/JKCA.2018.18.04.467 |
Cover
Loading…
Summary: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housing economic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on the ife satisfaction and the self-esteem of the elderly and how their self-esteem mediates the effects of housing economic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on their life satisfaction.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housing economic characteristics such as housing prices, occupancy area per resident, and ratio of utility cost to total living cost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elderly's life satisfaction and self-esteem, and the elderly's self-esteem mediated the effect of the economic characteristics of housing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Second, residential area, a regional characteristic of housing,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life satisfaction and self-esteem of the elderly, and the self-esteem of the elderly mediated the effect of the residential area on the life satisfaction. Thus, because elderly housing welfare policies related to housing economic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affect the elderly's life satisfaction, a psychological welfare, through a mediating effect of the elderly's self-esteem. 본 연구는 주거의 경제 및 지역적 특성이 노인의 삶의 만족도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한국복지패널 11차 조사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거의 경제적 특성인 주택가격, 가구원당 주거면적 및 총생활비대비 광열수도비 비중은 노인의 삶의 만족도와 자아존중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노인의 자아존중감은 삶의 만족도에 대한 주거의 경제적 특성의 영향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주거의 지역적 특성인 거주 지역은 노인의 삶의 만족도와 자아존중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노인의 자아존중감은 삶의 만족도에 대한 주거의 지역적 특성의 영향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주거의 경제 및 지역적 특성 등과 관련한 노인주거복지정책은 노인의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하여서도 노인의 심리적 복지감인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므로, 주거 빈곤 및 주거불평등 등으로 인해 노인의 삶의 만족도와 자아존중감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정책적인 고려를 하여야 할 것이다.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1814442074576 |
ISSN: | 1598-4877 2508-6723 |
DOI: | 10.5392/JKCA.2018.18.04.46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