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력적 문제 해결을 위한 소통적 사고의 특성에 대한 기호학적 분석

본 연구는 성공적인 협력적 문제 해결에서 소통적 사고의 특성을 기호학으로 분석하였다. 협력적 문제 해결에서 발신자와 수신자는 모든 수학적 대상에 의미를 두고 이를 해석한다. 기호학적 관점에서 대상의 해석 결과로 형성되는 해석체를 분석함으로써 본 연구는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첫째, 문제 해결 초기에 학생들의 추측, 가설, 느낌 등의 소통적 사고로 직접적 해석체가 형성되었고, 이는 소통적 사고의 목적 지향적 특성을 드러냈다. 둘째, 기호가 실제적인 수행을 하도록 하는 역동적 해석체가 소통적 사고에서 많이 형성되었고, 이는 구체적인 기...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Suhak gyoyukak yeon-gu (Online) pp. 1 - 17
Main Authors 김수민, 김선희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수학교육학회 29.02.2020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성공적인 협력적 문제 해결에서 소통적 사고의 특성을 기호학으로 분석하였다. 협력적 문제 해결에서 발신자와 수신자는 모든 수학적 대상에 의미를 두고 이를 해석한다. 기호학적 관점에서 대상의 해석 결과로 형성되는 해석체를 분석함으로써 본 연구는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첫째, 문제 해결 초기에 학생들의 추측, 가설, 느낌 등의 소통적 사고로 직접적 해석체가 형성되었고, 이는 소통적 사고의 목적 지향적 특성을 드러냈다. 둘째, 기호가 실제적인 수행을 하도록 하는 역동적 해석체가 소통적 사고에서 많이 형성되었고, 이는 구체적인 기호 조작을 통한 수학적 탐구의 능동적인 수행을 가능하게 하는 소통적 사고의 실행 지향적 특성을 말해주었다. 셋째, 학생들의 소통적 사고의 결과로 얻어지는 최종적 해석체는 문제 해결 결과가 담화에 참여하지 않은 사람에게도 인정받을 수 있는 보편적인 성격을 가짐을 확인하게 해주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학생들 스스로 다양한 수학적 접근을 할 수 있는 과제 설계가 필요하고, 의사소통 역량을 강화시키고자 하는 연구와 더불어 정의적인 영역과 인지적인 영역을 함께 증진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교육적 방안이 마련되어야 하며, 기호학을 적용하여 학생들의 사고 과정을 살펴보는 분석 연구가 활성화되어야 할 것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cational thinking in successful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In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communication, the sender and receiver infer meaning to all mathematical objects and interpret them. From the semiotic perspective, this study reached the following results by analyzing the interpretants formed from the objects. First, in the early stages of problem solving, immediate interpretant were formed from the communicational thinking of students’ guesses, hypotheses, and perceptions, revealing the purpose-oriented characteristics of communicational thinking. Second, many dynamic interpretants were made in the communicational thinking, allowing the sign to perform practically. Third, the final interpretant obtained as a result of the students’ communicational thinking confirmed that the problem solving result has a universal character that can be recognized by anyone. Based on these findings, it is suggested that teachers must design tasks that allow them to use a variety of mathematical approaches on their own. And it is suggested that affective as well as cognitive domain should be achieved and that studies to examine students’ thinking process by applying semiotics should be activated. KCI Citation Count: 0
ISSN:2288-7733
2288-8357
DOI:10.29275/jerm.2020.02.3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