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의 놀이성 및 창의성 향상을 위한 그림책 활용 전통놀이기반 사회교육프로그램의 적용
본 연구는 유아의 놀이성 및 창의성 향상을 위해 그림책을 활용한 전통놀이 기반 사회교육 프로그램을 시행하여 놀이의 맥락을 제공하는 그림책의 유무에 따라 유아의 놀이성,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와 집단 간 차이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에 위치한 M어린이집과 J어린이집 만5세 유아 각14명을 실험집단, 비교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은 그림책을 활용한 전통놀이 기반 사회교육프로그램을 비교집단은 누리과정에 기반한 일반전통놀이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21을 이용해 맨휘트니(Mann-Whitney)검증과 윌콕슨 검...
Saved in:
Published in | 교과교육학연구 Vol. 24; no. 2; pp. 137 - 146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30.04.2020
교과교육연구소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Cover
Loading…
Summary: | 본 연구는 유아의 놀이성 및 창의성 향상을 위해 그림책을 활용한 전통놀이 기반 사회교육 프로그램을 시행하여 놀이의 맥락을 제공하는 그림책의 유무에 따라 유아의 놀이성,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와 집단 간 차이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에 위치한 M어린이집과 J어린이집 만5세 유아 각14명을 실험집단, 비교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은 그림책을 활용한 전통놀이 기반 사회교육프로그램을 비교집단은 누리과정에 기반한 일반전통놀이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21을 이용해 맨휘트니(Mann-Whitney)검증과 윌콕슨 검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사전 사후 검사 결과를 비교해 본 결과, 실험집단은 프로그램 실시 전보다 놀이성, 창의성에서 긍정적 향상이 있었고 비교집단은 놀이성에서 긍정적 향상을 보였지만 창의성에서는 프로그램 실시 전과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실헙집단과 비교집단 간을 비교하였을 때, 실험집단은 비교집단 보다 전통놀이에 대한 흥미, 놀이성, 창의성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n the playability and creativity of children a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est group and comparison group with and without the picture books to provide play context by implementing traditional play-based social education programs, using picture books to improve children’s playability and creativity. This study conducted an experiment with 28 five-year old children, selected from M and J child care centers in Seoul, to investigate whether the picture book-based traditional play has a significant effect on children’s playability and creativity. Among the 28 young children, 14 children were the experimental group experiencing traditional play program based on picture-books, and the other 14 children were the comparison group experiencing normal traditional play for eight classe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SPSS.21 by conducting a Mann-Whitney U test and Wilcoxon signed-rank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omparison of the results of pre and post-test indicated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positive improvement in traditional play playfulness, creativity, compared to pre-program period. The comparative group showed a positive improvement in playfulness of traditional play, but did not show any difference in creativity. Second, when comparing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ison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layfulness and creativity than the comparison group.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1975-3217 2671-8324 |
DOI: | 10.24231/rici.2020.24.2.13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