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내장 수술 후 치료콘택트렌즈와 안약 치료를 적용한 임상 결과
목적: 치료콘택트렌즈를 착용하고 항생제 점안을 시작하는 백내장 수술 후 처치 방법의 안정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백내장 수술 후 치료콘택트렌즈를 착용하고 항생제 점안을 시작한 947안(1군)과 항생제 연고를 도포하고 거즈 안대를착용한 914안(2군)을 분석에 포함하였다. 두 군에서 수술 후 1일, 1주, 1개월째의 최대교정시력, 안압, 전방 염증의 정도, 절개창 누출여부, 안내염 발생을 포함한 임상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수술 전과 수술 후 1일, 1주일, 1개월째의 평균 최대교정시력과 평균 안압은 두 군 사...
Saved in:
Published in | Daihan angwa haghoi jabji Vol. 63; no. 3; pp. 268 - 275 |
---|---|
Main Authors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안과학회
15.03.2022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0378-6471 2092-9374 |
DOI | 10.3341/jkos.2022.63.3.268 |
Cover
Loading…
Summary: | 목적: 치료콘택트렌즈를 착용하고 항생제 점안을 시작하는 백내장 수술 후 처치 방법의 안정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백내장 수술 후 치료콘택트렌즈를 착용하고 항생제 점안을 시작한 947안(1군)과 항생제 연고를 도포하고 거즈 안대를착용한 914안(2군)을 분석에 포함하였다. 두 군에서 수술 후 1일, 1주, 1개월째의 최대교정시력, 안압, 전방 염증의 정도, 절개창 누출여부, 안내염 발생을 포함한 임상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수술 전과 수술 후 1일, 1주일, 1개월째의 평균 최대교정시력과 평균 안압은 두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수술 후 전방염증의 정도는 1일(p=0.302), 1주(p=0.437), 1개월째(p=0.960) 두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수술 후 1일째 1군의 10안과 2군의 9안에서 절개창 누출이 있었으며(p=1.000), 두 군 모두에서 안내염은 발생하지 않았다.
결론: 치료콘택트렌즈를 착용하고 항생제 점안을 바로 시작하는 것은 항생제 연고를 도포하고 거즈 안대를 착용하는 방법에 비해수술 후 합병증의 발생 위험이 높지 않아 백내장 수술 후 처치 방법으로 비교적 안전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Purpose: To investigate the safety of applying therapeutic contact lenses and eye drops after cataract surgery.
Methods: Immediately after cataract surgery, 947 eyes (group 1) used therapeutic contact lenses and eye drops and 914 (group 2) applied antibiotic ointment and wore a gauze eye patch for the first postoperative day. Clinical outcomes including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BCVA), IOP, degree of anterior chamber inflammation, wound leakage, and postoperative endophthalmitis were compared in the two groups 1 day, 1 week, and 1 month after surgery.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ean pre- and postoperative BCVA and IOP at 1 day, 1 week, and 1 month between groups 1 and 2. There was no difference in anterior chamber inflammation between the two groups at 1 day (p = 0.302), 1 week (p = 0.437), or 1 month (p = 0.960) after surgery. On the first postoperative day, 10 eyes in group 1 and nine eyes in group 2 had wound leakage (p = 1.000). There was no endophthalmitis in either group.
Conclusions: The risk of postoperative complications in group 1 was not higher than in group 2. Therefore, wearing therapeutic contact lenses and using eye drops is a relatively safe management method after cataract surgery. KCI Citation Count: 1 |
---|---|
ISSN: | 0378-6471 2092-9374 |
DOI: | 10.3341/jkos.2022.63.3.26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