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 2학년의 초기 대수 관련 문제 해결 전략 분석

초등학교 시기의 초기 대수 교육은 학생들이 이후에 학습할 대수에 대해 폭넓은 시각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양적 추론, 수학적 모델링, 함수적 사고 등으로 이어지는 다양한 진입점을 제공한다(Carraher & Schliemann, 2007).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2학년 학생들에게 초기 대수 관련 문제를 제공하고 그에 대한 학생들의 해결 전략을 분석함으로써, 2학년 학생들의 대수 학습 준비 정도를 파악하고 학생들의 산술적 사고에서 대수적 사고로의 전이에 관한 교수학적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2학년 학...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Suhak gyoyukak yeon-gu (Online) Vol. 29; no. 3; pp. 405 - 423
Main Authors 임미인(Miin Lim), 장혜원(Hyewon Cha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The Korea Society Of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31.08.2019
대한수학교육학회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288-7733
2288-8357
DOI10.29275/jerm.2019.8.29.3.405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초등학교 시기의 초기 대수 교육은 학생들이 이후에 학습할 대수에 대해 폭넓은 시각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양적 추론, 수학적 모델링, 함수적 사고 등으로 이어지는 다양한 진입점을 제공한다(Carraher & Schliemann, 2007).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2학년 학생들에게 초기 대수 관련 문제를 제공하고 그에 대한 학생들의 해결 전략을 분석함으로써, 2학년 학생들의 대수 학습 준비 정도를 파악하고 학생들의 산술적 사고에서 대수적 사고로의 전이에 관한 교수학적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2학년 학생 100명이며, 이들은 산술적 사고 수준 검사 도구(Lim & Chang, 2017)를 이용한 사전 검사 결과, 모두 산술적 사고의 1수준 이하에 해당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의 검사 도구는 Caldwell et al.(2011), Caldwell et al.(2014)에서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에게 적용 가능하다고 제안한 대수 학습 준비를 위한 문제 4종을 번안 및 재구성하여 마련하였다. 검사 도구를 연구 대상에게 적용한 후 자료를 수집하여 학생들의 문제 해결 전략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생들에게 양 사이의 관계를 일반화하고 수를 여러 가지로 분해하는 충분한 기회를 제공해야 하고 □와 같은 기호의 체계적 지도가 필요하다는 점 등 초기 대수 학습 및 산술적 사고에서 대수적 사고로의 전이를 돕는 초등학교 수학 교수‧학습을 위한 몇 가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paration for learning algebra of 2nd graders and to derive some didactic implications of transition from arithmetical thinking to algebraic thinking. 100 2nd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were selected as subjects of this study from H, J, K, W elementary schools in Seoul, and B elementary school in Gyeonggi-do. These students were found to be less than 1st level of arithmetical thinking as a result of the preliminary test according to the arithmetical thinking level test developed by Lim & Chang(2017). Questionnaires were prepared by adapting and reconstructing four word-problems for preparing algebraic learning which are proposed to be available to 1st and 2nd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by Caldwell et al.(2011), and Caldwell et al.(2014). Using the questionnaires, the students’ problem solving strategies were analyzed. Fro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ome meaningful implications for helping early algebraic learning and the elementary students’ transition from arithmetical thinking to algebraic thinking were found. KCI Citation Count: 0
ISSN:2288-7733
2288-8357
DOI:10.29275/jerm.2019.8.29.3.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