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중견건설기업의 해외하도급사업 리스크관리 성과분석

In recent years, the reduction of international award and project loss by Korean contractors have become a big issue not only in industry but also in academic fields. However, many researches have not focused on small and medium subcontractors but on the large contractors, even though the number of...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18(2) Vol. 18; no. 2; pp. 71 - 80
Main Authors 정우용, 이바울, 한승헌, Jung, Wooyong, Lee, Baul, Han, Seungheo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건설관리학회 01.03.2017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005-6095
2465-9703
DOI10.6106/KJCEM.2017.18.2.071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In recent years, the reduction of international award and project loss by Korean contractors have become a big issue not only in industry but also in academic fields. However, many researches have not focused on small and medium subcontractors but on the large contractors, even though the number of international project by small and medium companies is more than by large companies.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analyzing the predicted risk before bid and the actual risk after award in international subcontracting projects. In addition, it provides the difference between project performances according to the contract types and the project profitability. This study is expected to give more informed risk knowledge to small and medium subcontractors, which enables them to pay attention to managing risk for better project performances. 최근 국내 대형건설기업들의 해외 수주급감과 사업손실은 산업체뿐만 아니라 학술기관에도 큰 이슈가 되어왔다. 반면에, 중소 중견건설기업은 대형건설기업보다 수주 기업수나 건수면에서 해외사업에 더 많이 노출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많은 연구가 있지 못해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소 중견건설기업의 해외 하도급 사업에 특화된 리스크에 대하여 사업특성에 따른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서 실제 수행된 프로젝트를 조사하여 입찰 전 예측 리스크와 실제 발생한 리스크의 수준을 비교하여 리스크 중요도와 사업성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해외사업 계약조건과 사업의 수익성에 대한 특성에 따른 리스크 중요도와 관리 성과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해외사업에서 국내 중소 중견건설기업이 직접시공을 할 때, 보다 나은 수익성과를 창출하기 위하여 입찰 전 어떠한 리스크 예측을 주의해야 하고, 수주 후 어떠한 리스크를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해야 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지원해주고 있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1719363527633
G704-001084.2017.18.2.001
ISSN:2005-6095
2465-9703
DOI:10.6106/KJCEM.2017.18.2.0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