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포 숙성 치즈와 곰팡이 숙성 치즈의 관능적 특성 비교 분석에 관한 총설

The objectives of this review are to be aware of the differences between the smear-ripened and mold-ripened cheeses and to compare the sensory attributes of smear-ripened and blue-vein cheeses. Sensory attributes of cheese occupy a prominent place for the desirable overall quality of smear-ripened a...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9(4) Vol. 19; no. 4; pp. 675 - 681
Main Authors 이미령, Lee, Mee-Ryu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콘텐츠학회 01.04.2019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4877
2508-6723
DOI10.5392/JKCA.2019.19.04.675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The objectives of this review are to be aware of the differences between the smear-ripened and mold-ripened cheeses and to compare the sensory attributes of smear-ripened and blue-vein cheeses. Sensory attributes of cheese occupy a prominent place for the desirable overall quality of smear-ripened and blue-vein cheeses. Smear-ripened cheeses characterized by a smooth and brittle texture. Furthermore, smear-ripened cheeses have common grittiness characteristics, also slightly salty and sour flavor compared to blue-vein cheeses. Blue-vein cheeses are characterized by a softer, creamy texture and stronger smells when goat milk is used. Blue-vein cheeses have a fresh, clean, somewhat salty and acid with a slightly bitter tastes compared to smear-ripened cheeses. Finally, the differences in sensory attributes of smear-ripened and blue-vein cheeses such as texture, aroma, and flavor, can make them useful to determine the quality of cheeses. 이 총설의 목적은 도포 숙성 치즈와 곰팡이 숙성 치즈의 제조 공정의 차이를 살펴보고 이들의 관능적 특성 차이에 관하여 비교 분석 하는 것이다. 도포 숙성 치즈와 곰팡이 숙성 치즈의 관능적 특성은 치즈의 품질 평가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도포 숙성 치즈는 부드럽고 잘 부스러지는 질감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블루 치즈와 비교하여 짠맛과 신맛이 강한 편이다. 반면에 블루 치즈 (곰팡이 숙성 치즈)는 산양유로 만들었을 때 더 부드럽고 크림과 같은 질감이 나며 냄새가 좀 더 강한 편이다. 블루 치즈는 좀더 산도와 짠맛, 쓴맛이 도포 숙성 치즈에 배하여 강한 편이며 좀 더 신선한 맛이 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도포 숙성 치즈와 곰팡이 숙성 치즈의 관능적 특성, 예를 들면 냄새, 맛, 질감 등은 치즈의 품질 평가에 아주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것이라 사료된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1914456457398
ISSN:1598-4877
2508-6723
DOI:10.5392/JKCA.2019.19.04.6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