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비부머의 성격특성이 노후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천안지역 공단 근로자를 중심으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differences in personality traits and preparation level of the baby boomers for the old age by the demographic factors and to analyze the effect of Big 5 on preparation for the old age. The 331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mong workers born in 1955 to...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2(4) Vol. 12; no. 4; pp. 245 - 262 |
---|---|
Main Authors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콘텐츠학회
01.04.2012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4877 2508-6723 |
DOI | 10.5392/JKCA.2012.12.04.245 |
Cover
Summary: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differences in personality traits and preparation level of the baby boomers for the old age by the demographic factors and to analyze the effect of Big 5 on preparation for the old age. The 331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mong workers born in 1955 to 1963 in the Chunan industrial complex. And the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t-test, ANOV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for the collected data were conducted with program SPSS 18.0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partial difference in personality and preparation for the old age by the demographic factors. Second, extraversion, openness to experience and conscientiousness from personality have a positive effect on physical preparation for the old age while neuroticism has a negative effect on it. And there is no relationship between agreeableness and personality. Third, conscientiousness, openness to experience and extraversion have a positive effect on social preparation for the old age, but neuroticism and agreeableness do no affect it. Fourth, neuroticism,extraversion,openness to experience and conscientiousness have a positive effect on economic preparation for the old age, but agreeableness does not have any relationship with economic preparation. 본 연구는 베이비부머의 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성격특성 및 노후준비행동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성격5요인이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1955년부터 1963년 사이에 태어난 베이비붐 세대로 천안시 공단지역 근로자 33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성분석 및 t-test, ANOVA,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베이비부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성격특성과 노후준비행동에서 부분적으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베이비부머의 성격특성 중 외향성과 개방성, 그리고 성실성은 신체적 노후준비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정서적 불안정성은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호감성은 영향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베이비부머의 성격특성이 사회적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성실성과 개방성, 외향성이 정(+)의 영향을 미쳤고, 정서적 불안정성과 호감성은 영향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베이비부머의 성격특성이 경제적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정서적 불안정성, 외향성, 개방성, 성실성이 영향을 미치고 호감성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1215239618339 G704-001475.2012.12.4.008 |
ISSN: | 1598-4877 2508-6723 |
DOI: | 10.5392/JKCA.2012.12.04.24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