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시지 특성, 행위의 결과, 추구 가치에 기반한 리트윗 행위 : 래더링 기법을 이용한 탐색적 연구
Assuming that roles of traditional mass media are also shown in Twitter services, the study aims at exploring Twitter users' motives and rationales in re-tweet behavior. Based on the laddering interview method, the study gathers data on (1) message attributes (what kinds of messages do you re-t...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3(3) Vol. 13; no. 3; pp. 131 - 140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콘텐츠학회
01.03.2013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4877 2508-6723 |
DOI | 10.5392/JKCA.2013.13.03.131 |
Cover
Summary: | Assuming that roles of traditional mass media are also shown in Twitter services, the study aims at exploring Twitter users' motives and rationales in re-tweet behavior. Based on the laddering interview method, the study gathers data on (1) message attributes (what kinds of messages do you re-tweet?); (2) consequences (what kinds of consequences are you expecting when you re-tweet?); and (3) values (what are the ultimate values in your re-tweet behavior?). The most repetitive value occurring in participants' retweet was feeling "sympathy" and "sharing" rationales. For such rationales, participants oftentimes utilize messages with "agenda" and "information" that are relative to themselves. Messages with "helping" to help others also frequently showed up in their retweet rationales. Known as liberalists' rationales, "communal consciousness", and "calling for others' action" are also shown, but not as frequent as "feeling sympathy and sharing. A total of 48 items from the analyses were used in a subsequent study as variables to identify factors (dimensions) of retweet motivation. 이 연구는 트윗과 리트윗 행위가 기존 매스미디어의 기능을 제한적으로 대체한다고 가정하고, 트위터 사용자의 리트윗 행위에 내재한 동기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래더링 방법을 이용하여 트윗된 메시지의 속성 (Attributes), 리트윗을 함으로써 얻는 결과(Consequences), 그리고 이를 통해서 궁극적으로 추구하는 가치(Values)에 대한 참가자들의 응답을 토대로 질적인 데이터를 구성하고, 여기에서 떠오르는 중요한 테마들(theme)을 기록, 분석했다. 그 결과 리트윗의 이유로 두드러지는 것은 공감과 공유를 통한 자기만족의 가치였고, 이를 위해서 화제성과 정보성이 포함된 트윗 메시지들을 리트윗하는 경향이 많다는 것을 밝혔다. 또 다른 테마로는 공감과 공유를 통해서 남들에게 필요한 도움을 직, 간접적으로 주고자 하는 이타적인 목적과 사회발전추구, 공동체적 의식 등의 공동체적 가치 또한 발견되었다. 연구결과 추출된 총 48항목은 요인분석을 이용하여 몇 개의 잠재변인으로 나눌 수 있는가를 살펴보는 후속연구에 사용되었다.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1310837321280 G704-001475.2013.13.3.009 |
ISSN: | 1598-4877 2508-6723 |
DOI: | 10.5392/JKCA.2013.13.03.1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