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M 견적 작업 생산성 향상을 위한 업무 환경 조성에 관한 연구

Many cases have mentioned the effect by applying BIM on the media such as at conferences, workshops, reports, ect. These cases reported that costs could be saved directly by prevention the need to re-do and reconstruct caused by using BIM. BIM users mentioned that using BIM has potential value in sa...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17(1) Vol. 17; no. 1; pp. 56 - 65
Main Authors 김성아, 박권, 송병섭, 최철호, 진상윤, Kim, Seong-Ah, Park, Gweon, Song, Byeong-Seob, Choi, Chel-Ho, Chin, Sang-Yoo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건설관리학회 2016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005-6095
2465-9703
DOI10.6106/KJCEM.2016.17.1.056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Many cases have mentioned the effect by applying BIM on the media such as at conferences, workshops, reports, ect. These cases reported that costs could be saved directly by prevention the need to re-do and reconstruct caused by using BIM. BIM users mentioned that using BIM has potential value in saving costs. The benefits of the BIM include intangible value that cannot be estimated in costs, such as reducing work time and improving productivity. However, the financial value of using BIM, such as Return on Investment, has not yet been exposed, and BIM users have a negative view of the financial value of BIM in Korea. Therefore, this study has researched the effects of applying BIM on construction estimate services in view of business productivity, not finance. This study compared the traditional and BIM based estimation, and verified the effect of estimating BIM through work sampling. This study investigated a precondition for getting the effects of BIM based estimation. The results show a need for BIM education, 3D Modeling standards, and database on quantity in order to improve product ivity and reduce work time on BIM based estimation BIM 적용으로 인해 비용절감 효과를 얻은 사례가 많은 학회, 보고서, 세미나 등을 통해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사례에서는 BIM을 적용하여 재작업 및 재시공방지와 같은 직접적인 비용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언급하고 있다. 또한 작업시간 단축, 업무 생산성 향상과 같이 비용으로 환산할 수 없는 효과도 존재한다. 국내외 BIM 사용자들은 BIM 적용으로 인한 비용절감에 관한 잠재적인 가치가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국내에서는 BIM 적용으로 인한 뚜렷한 경제적 가치(ROI)가 드러나지 않고 있으며, 국내 BIM 사용자들도 경제적 성과에 대해서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제적 가치로 환산하기 어려운 작업시간, 생산성 향상과 같은 BIM 적용 효과를 진단하고, BIM 적용 효과를 얻기 위해서 수반되어야 하는 것들은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본 연구는 건설 프로젝트 생애주기 동안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는 BIM의 적용효과를 견적분야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동일한 프로젝트를 대상으로 기존 견적과 BIM 견적에서의 작업시간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기존 견적과 같이 BIM 견적에서 작업속도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실무자들의 BIM 교육, 모델링 작업 기준, BIM 연동 내역서가 필요한 것으로 드러났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1606050646277
G704-001084.2016.17.1.003
ISSN:2005-6095
2465-9703
DOI:10.6106/KJCEM.2016.17.1.0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