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의 체세포핵이식태반과 정상태반간의 차등 발현 유전자 분석
There has been great success for making transgenic animals using somatic cell nuclear transfer(SCNT) up to this time. However, the success rates of the production of live transgenic animals are still very low. The current research has been carried out for delineation of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
Saved in:
Published in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Vol. 50; no. 5; pp. 641 - 648 |
---|---|
Main Authors | , , , , , , , , , ,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축산학회
01.10.2008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9429 2672-0191 2093-6281 |
Cover
Summary: | There has been great success for making transgenic animals using somatic cell nuclear transfer(SCNT) up to this time. However, the success rates of the production of live transgenic animals are still very low. The current research has been carried out for delineation of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between SCNT and normal placenta in cattle. In the present observations, high expression has been observed for CTSZ, LOC509426 and ELF1 genes in normal placenta. On the other hand, TIMP2, PAG1B, PAG-21, LOC782894, SERPINB6 and mKIAA2025 protein were highly expressed in SCNT placenta. Five genes, which were highly expressed in SCNT placenta, have been further investigated using semi-quantitative real-time PCR. The results were similar to that we observed using ACP. In the future, all genes affecting the SCNT and normal placenta have to be discovered and their networks will be fully investigated. The genes were identified in this study would be great help for identifying differential gene expressions in SCNT placenta. 체세포핵이식을 이용하여 복제동물을 생산하고자하는 연구가 계속적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현재까지 많은 성과를 거두고 있으나 복제동물의 성공률이 현저히 낮은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복제동물생산과 관련된 여러 가지 이유 중 정상태반과 체세포복제소의 태반사이의 차등발현 유전자를 발굴하기 위해서 각각의 태반에서 total RNA를 추출하였고 이를 20개의 arbitrary ACPs를 이용하여 정상과 체세포이식태반사이에서 차등발현되는 유전자를 조사한 결과 8개의 발현차이를 보이는 band를 확인할 수 있었고 이 유전자들의 염기서열을 이용하여 BLAST search한 결과 정상태반에서는 CTSZ, LOC509426 및 ELF1 유전자의 발현이 높았고 체세포이식태반에서는 TIMP2, PAG1B, PAG-21, LOC782894, SERPINB6 및 mKIAA2025 protein 유전자의 발현이 높아 총 9개의 차등발현 유전자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결과중 체세포핵이식태반에서 발현이 높은 유전자중 아직까지 기능이 밝혀지지 않은 mKIAA 2025 protein를 제외하고 5개의 유전자는 quantitative real-time PCR를 이용하여 유전자의 발현을 재확인하여 체세포핵이식태반에서 발현이 높음을 재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체세포핵이식태반에서 발현차이를 보이는 유전자들 중 극히 일부분만을 확인하였으나 앞으로 더 많은 유전자들과 상호관계를 확인한다면 체세포복제생산에서 태반내의 유전자 변화에 관한 기전을 밝히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사료된다.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0816049040416 G704-000216.2008.50.5.001 |
ISSN: | 1598-9429 2672-0191 2093-628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