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업무시설 건축 마감재의 수선율 산정 방안에 관한 연구

Business facilities among domestic architectures have rapidly been constructed along with domestic economic development. It is an important facility taking the second largest proportion next to apartment buildings among current 31 building types of fire department classification of 2012 year for urb...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16(1) Vol. 16; no. 1; pp. 52 - 63
Main Authors 김선남, 유현석, 김영석, Kim, Sun-Nam, Yoo, Hyun-Seok, Kim, Young-Suk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건설관리학회 201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005-6095
2465-9703
DOI10.6106/KJCEM.2015.16.1.052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Business facilities among domestic architectures have rapidly been constructed along with domestic economic development. It is an important facility taking the second largest proportion next to apartment buildings among current 31 building types of fire department classification of 2012 year for urban architectures. The expected service life of business facilities is 15 years, but 70% of those in urban areas have surpassed the 15 year service life as of the present 2014. Thus, the demand for urgent rehabilitation of such facilities is constantly increasing due to the aging and performance deterioration of the facilities'main finishing materials. Especially, the business facilities are being used for the lease of company office or private office, and such problems as aging and performance deterioration of the facilities could cause less competitive edge for leasing and real estate value depreciation for the O&M (Operation & Management) agent and the owner, respectively. Therefore, an effective planned rehabilitation as a preventive measure according to the standardized repair rate by the number of years after the construction is in need in order to prevent the aging and performance deterioration of the facilities(La et al. 2001). Nonetheless, domestic repair/rehabilitation standards based on the repair rate are mainly limited to apartment buildings and pubic institutions, resulting in impractical application of such standards to business facilities. It has been investigated and analyzed that annual repair rate data for each finishing material are required for examination of the applicability of the repair rate standard for the purpose of establishment of a repair plan. Hence, this study aimed at developing a repair rate computation model for finishing materials of the facilities and verifying the appropriateness of the annual repair rate for each finishing material through a case study after collecting and analyzing the repair history data of six business facil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planning and implementation of more efficient repair/rehabilitation budget by preventing the waste of unpredicted repair cost and opportunity cost for the sake of the business facilities' owners and O&M agents. 국내 건축물 중 업무시설은 국가 경제발전 및 산업구도의 변화와 더불어 급속도로 보급되기 시작하여 2012년 수도권 기준 소방대상물 현황 31개종 중 공동주택 다음으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주요 시설물이다. 그러나 2014년 현재 수도권지역 업무시설 중 70% 이상이 사용기간 15년 이상으로 주요 건축 마감재의 노후화와 기능저하가 시작되는 등 수선이 시급한 업무시설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업무시설은 사옥 또는 임대사무실의 목적으로 활용되고 있어 시설물의 노후화와 기능 저하가 초래될 경우 건축주와 유지관리 주체에게 임대 경쟁력 저하 및 부동산 가치 하락 등의 문제점을 가져올 수 있다. 이와 같은 시설물의 노후화와 기능 저하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준공 후 경과연수에 따라 수선율을 기준으로 한 예방적 차원의 계획 수선을 필요로 한다(La et al. 2001). 이러한 수선율을 기준으로 하는 국내의 수선기준들은 그 대상의 범위가 주로 공동주택과 공공기관 시설물에 국한되어 있어 업무시설에 해당 기준을 적용하기에는 한계성이 있으며, 현업에서의 수선계획 수립을 위한 수선율 기준의 적용성 제고를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연간단위의 마감재별 수선율 데이터가 요구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 분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6개소 업무시설의 실제 수선이력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하여 업무시설을 대상으로 한 건축 마감재의 수선율 산정 모형을 개발하고 사례적용을 통해 도출된 마감재별 연간단위 수선율의 적정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물은 업무시설의 건축주 및 유지관리 주체들로 하여금 발생 가능한 돌발적 보수비용과 기회비용의 낭비를 예방케 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유지보수 예산의 계획과 집행을 가능하게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1506234294045
G704-001084.2015.16.1.006
ISSN:2005-6095
2465-9703
DOI:10.6106/KJCEM.2015.16.1.0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