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상, 지각된 공정성, 성과에 대한 이론적 논의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comprehensive review of the compensation system that affects the employee's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This study is mainly designed to review previous studies of the impact of compensation system, and suggest meaningful implications in relati...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6(9) Vol. 16; no. 9; pp. 523 - 530 |
---|---|
Main Authors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콘텐츠학회
01.09.2016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4877 2508-6723 |
DOI | 10.5392/JKCA.2016.16.09.523 |
Cover
Loading…
Summary: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comprehensive review of the compensation system that affects the employee's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This study is mainly designed to review previous studies of the impact of compensation system, and suggest meaningful implications in relation to firm's performance. It is clarified that compensation is positively related to firm's performance, and the perceived equit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ensation and performance. It is suggested that an empirical research should be done based on the formulated propositions of this research. 본 연구는 직무만족, 이직의도 및 보상시스템에 관련된 선행연구를 포괄적으로 고찰하여 향후 연구를 위한 이론적 시사점의 도출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보상시스템과 성과와의 관계를 분석한 선행연구를 체계적으로 논의하였다. 선행연구의 분석결과, 기업이 구성원에게 제공하는 내적 외적 보상은 직무만족과 긍정적인 관계, 이직의도와는 부정적인 관계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구성원이 지각하는 보상의 공정성은 직무만족에 긍정적, 이직의도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제시되었다. 특히 보상의 공정성은 기업의 보상시스템과 성과와의 관계에서 매개적인 역할을 한다는 사실이 다수의 선행연구를 통해서 파악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의 리뷰를 바탕으로 보상시스템과 성과와의 관계에 관련된 명제를 제시하였으며, 후속연구를 위해 이론적 차원에서 관련 연구 영역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1630762633806 G704-001475.2016.16.9.057 |
ISSN: | 1598-4877 2508-6723 |
DOI: | 10.5392/JKCA.2016.16.09.5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