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각 문화콘텐츠 분석에 관한 연구 -시각적 재미의 분석 방법론을 중심으로
The study on the analytical and productive methodolgy of visual culture contents is meaningful because cultural contents are regarded as a national growth industry. The fundamental notion of cultural contents is researched based on the notion of visual culture, and important factors of the fun are a...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2(6) Vol. 12; no. 6; pp. 170 - 181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콘텐츠학회
01.06.2012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4877 2508-6723 |
DOI | 10.5392/JKCA.2012.12.06.170 |
Cover
Summary: | The study on the analytical and productive methodolgy of visual culture contents is meaningful because cultural contents are regarded as a national growth industry. The fundamental notion of cultural contents is researched based on the notion of visual culture, and important factors of the fun are analyzed as a creative motive of visual culture contents. So this paper provides anaytical methodologies for the fun in visual culture contents, which are based on semiotic theories of Charles Morris, Roland Barthes and Roman Jakobson. These analytical matrix can be references for the study of the mechanism of fun and the basic theory for using fun effects in the visual culture contents. 다양한 미디어를 통한 문화콘텐츠가 국가의 주요 성장동력산업이 되는 현대에 시각문화콘텐츠의 효과적인 생산을 위한 논리적이고 실용적인 분석 및 생산방법론을 모색하는 것은 의미가 있다. 이에 시각문화를 배경으로 문화콘텐츠 개념을 정리하고, 시각문화콘텐츠의 창작 모티브로서의 재미의 요소를 분석하였다. 그리하여 향후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고 재미를 제공할 수 있는 시각문화콘텐츠 생산을 가능하게 하는 분석방법론을 고찰하여 제시하였다. 이것은 주로 기호학적 접근방법을 통한 분석방법론인데. 찰스 모리스 기호학 이론에 근거한 분석 매트릭스, 롤랑 바르트의 의미작용 이론 그리고 로만 야콥슨의 커뮤니케이션 기능 이론에 근거한 분석 매트릭스이다. 이러한 분석 매트릭스는 '재미'의 매커니즘을 다양한 층위로 연구하는데 참고자료가 되며, 시각문화콘텐츠에 재미의 요소를 논리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하는 근거가 될 수 있다.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1220962916577 G704-001475.2012.12.6.037 |
ISSN: | 1598-4877 2508-6723 |
DOI: | 10.5392/JKCA.2012.12.06.17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