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내장의 진단 경로

목적: 녹내장 환자들이 어떤 경로를 통해서 녹내장을 진단 받게 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본원에서 녹내장을 처음 확진 받은 환자 484명(여 223명, 남 261명, 평균 나이 55.3세)을 대상으로 어떤 경로로 녹내장을 진단 받았는지 의무기록을 조사하였다. 진단 경로는 1) 녹내장 관련 증상 때문에 발견된 경우(안압 상승 관련 통증 또는 시각 증상이 녹내장 외에 다른 이상에 의해서 설명되지 않을 때), 2) 다른 증상 때문에 안과를 방문했다가 우연히 발견된 경우, 3) 건강검진에서 발견된 경우, 4) 녹내장 가족력 때...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Daihan angwa haghoi jabji Vol. 57; no. 5; pp. 794 - 799
Main Author 이관복(Kwan Bok Lee), 김민경(Min Kyung Kim), 김미진(Mi Jin Kim), 안상일(Sang Il Ahn), 황영훈(Young Hoon Hwa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안과학회 30.05.2016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0378-6471
2092-9374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녹내장 환자들이 어떤 경로를 통해서 녹내장을 진단 받게 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본원에서 녹내장을 처음 확진 받은 환자 484명(여 223명, 남 261명, 평균 나이 55.3세)을 대상으로 어떤 경로로 녹내장을 진단 받았는지 의무기록을 조사하였다. 진단 경로는 1) 녹내장 관련 증상 때문에 발견된 경우(안압 상승 관련 통증 또는 시각 증상이 녹내장 외에 다른 이상에 의해서 설명되지 않을 때), 2) 다른 증상 때문에 안과를 방문했다가 우연히 발견된 경우, 3) 건강검진에서 발견된 경우, 4) 녹내장 가족력 때문에 본인이 검사를 원한 경우로 나누었고, 안과진료와 건강검진에서 녹내장을 의심하게 된 이유는 1) 시신경유두 이상, 2) 높은 안압, 3) 두 가지 모두로 구분하였다. 결과: 녹내장 진단경로는 관련 증상 때문에 발견된 경우 11.8%, 안과에서 우연히 발견된 경우 74.2%, 건강검진에서 발견된 경우12.4%, 본인이 원해서 발견된 경우 1.7%의 분포를 보였다. 안과진료와 건강검진에서 녹내장을 의심하게 된 이유는 시신경유두 이상 84.2%, 높은 안압 15.8%였고, 그중 7.4%는 시신경유두 이상과 높은 안압이 동반된 경우였다. 결론: 녹내장을 진단 받게 되는 가장 흔한 경로는 안과진료와 건강검진을 통한 시신경유두검사였다. 녹내장의 조기 진단을 위해서 정기적인 안과진료를 통한 시신경유두의 자세한 검사가 중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Purpose: To evaluate the events leading to a diagnosis of glaucoma. Methods: Medical records of 484 subjects (223 women, 261 men; mean age, 55.3 years) who visited a glaucoma clinic without previous glaucoma diagnosis were reviewed. Events were classified into: 1) glaucoma-related symptoms, such as ocular pain accompanied by intraocular pressure elevation or visual disturbance without other ocular abnormalities except glaucoma, 2) ocular examination by an ophthalmologist for other symptoms, 3) routine health examination, or 4) patient request due to family history of glaucoma. Ocular findings that suggested glaucoma and led to detailed glaucoma assessment were classified as: 1) an optic disc abnormality, 2) high intraocular pressure, or 3) both. Results: Events that led to the diagnosis of glaucoma were glaucoma-related symptoms in 11.8%, examination by an ophthalmologist in 74.2%, routine health examination in 12.4%, and family history in 1.7% of subjects. Findings that suggested glaucoma in ocular and routine health examinations were an optic disc abnormality in 84.2% and high intraocular pressure in 15.8%; both of these findings were found in 7.4% of subjects. Conclusions: The most common path to glaucoma diagnosis was optic disc assessment by an ophthalmologist and routine health examination. To facilitate early detection of glaucoma, regular detailed optic disc evaluation by an ophthalmologist should be emphasized. KCI Citation Count: 1
Bibliography:G704-001025.2016.57.5.004
ISSN:0378-6471
2092-93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