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M 복합객체에 대한 속성정보의 통합관리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based construction projects have increased and become more varied, and as such the management of BIM-based facility information is also increasingly important for facility maintenance. Information management, and specifically product data mapping, however, has som...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16(2) Vol. 16; no. 2; pp. 97 - 105
Main Authors 김가람, 유정호, Kim, Karam, Yu, Jungho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건설관리학회 01.03.201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005-6095
2465-9703
DOI10.6106/KJCEM.2015.16.2.097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based construction projects have increased and become more varied, and as such the management of BIM-based facility information is also increasingly important for facility maintenance. Information management, and specifically product data mapping, however, has some problems in the area of manual data entry and does not adequately consider the exchange requirements of facility maintenan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a method to improve the management of composite object information for BIM-based facility maintenance so that it can handle construction operation building information exchange (COBie) data for a composite object. Therefore, we present a method to map COBie data to related materials of a composite object. This research contributes to increasing the efficiency and accuracy of the required information mapping between a building model and product data using a BIM library through optimal BIM data adoption. Moreover, it allows for the creation and management of specific product data at the design development phase. 건설산업에 BIM이 확대 적용되어 감에 따라, 건축물 유지관리에 BIM을 적용하기 위한 연구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건축물 전 생애주기를 고려한 BIM기반 건축물 요구정보의 입력과정은 초기 설계단계에서부터 전문가에 의하여 유지관리를 고려한 수작업의 개입이 요구되며, 단계별 및 주체별로 시설물 유지관리 요구정보의 입력항목이 구분되어 있지 않아, 실무에서 이를 모두 입력 하는 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또한, 유지관리 요구정보는 IFC (Industry Foundation Classes)기반의 건물 모델파일과 직접적으로 연계될 수 있으나, 일반 사용자가 유지관리단계를 고려한 IFC 파일을 생성 하는 데에는 정보입력의 수준 및 범위에 대하여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프로젝트 진행 단계별 BIM정보 전달과정의 비효율성을 최소화하고 복합객체에 대한 속성정보의 통합적인 관리를 위하여, BIM기반 복합객체에 대한 속성정보의 통합관리 방안을 제안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단계별로 다르게 적용되는 BIM정보의 개발상세수준에 따라 개별 제품정보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여, 단계별로 진행되는 BIM기반 데이터 분석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속성정보에 대한 혼란을 제거하여 적정한 속성정보의 활용 및 분석결과의 신뢰성과 정확성을 확보할 수 있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1519262930928
G704-001084.2015.16.2.007
ISSN:2005-6095
2465-9703
DOI:10.6106/KJCEM.2015.16.2.0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