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무 중 비공식적 커뮤니케이션의 워터쿨러 효과 : 스마트폰 사용자의 카카오톡을 중심으로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informal communication of smart-phone user while at work on performance. To do this, we proposed the research model including informal offline communication represented by tea time and informal online communication typified by Kakao talk derived from wat...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3(3) Vol. 13; no. 3; pp. 362 - 369
Main Authors 이종만, Lee, Jong Ma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콘텐츠학회 01.03.2013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4877
2508-6723
DOI10.5392/JKCA.2013.13.03.362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informal communication of smart-phone user while at work on performance. To do this, we proposed the research model including informal offline communication represented by tea time and informal online communication typified by Kakao talk derived from water-cooler effect. The results of this empirical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ings. First, Kakao talk with insiders has a positive effect on performance only in male group, and Kakao talk with outsiders has a negative effect on performance in both male and female group. Secondly, tea time has a positive effect on performance in group with high task interdependence, whereas Kakao talk with insiders has a positive effect on performance in group with low task interdependence. The findings have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policy development to regulate the wise smart-phone use in organization. 본 연구는 업무 중 스마트폰 사용자의 비공식적인 커뮤니케이션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워터쿨러 효과를 배경으로 티타임으로 대표되는 비공식적인 오프라인 커뮤니케이션과 카카오톡과 같은 비공식적인 온라인 커뮤니케이션을 함께 반영한 연구모형을 개발하였다. 실증분석결과 첫째, 조직 내부인과의 카카오톡은 남성 그룹에서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직 외부인과의 카카오톡은 남성과 여성 그룹 모두에서 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상호의존도가 높은 업무 그룹에서는 티타임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상호의존도가 낮은 업무그룹에서는 조직 내부인과의 카카오톡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와 같은 본 연구의 결과는 조직에서의 현명한 스마트폰 사용 지침 개발에 대한 시사점이 있다 하겠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1310837321420
G704-001475.2013.13.3.046
ISSN:1598-4877
2508-6723
DOI:10.5392/JKCA.2013.13.03.3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