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스북 친구들의 반응과 관계적 유용성: 자기노출 성향의 영향력과 성별의 조절효과

This study examined the associations among self-disclosure tendency, self-activities and friends' responses on Facebook, and perceived usefulness of Facebook in social networking. Sex differences were also examined. Results showed that participants' self-disclosure tendency was positively...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5(7) Vol. 15; no. 7; pp. 449 - 459
Main Authors 진보래, 노현주, Jin, Borae, Noh, Hyun-Joo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콘텐츠학회 01.07.201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This study examined the associations among self-disclosure tendency, self-activities and friends' responses on Facebook, and perceived usefulness of Facebook in social networking. Sex differences were also examined. Results showed that participants' self-disclosure tendency was positively related to their activities in Facebook, which were strongly related to friends-activities. Self- and friends-activities significantly increased usefulness in social networking. Regarding sex differences, the relationships between self-disclosure tendency and self-activities and between self-activities and usefulness were stronger for men, while the relationship between friends-activities and usefulness was stronger for women. These results suggest women tend to value friends' responses more in assessing relational qualities than men in Facebook contexts. 이 연구는 자기노출(self-disclosure) 성향, 페이스북에서의 자신의 활동 및 친구들의 반응, 그리고 페이스북의 관계적 유용성 간의 관계를 조사하고, 이러한 관계가 성별에 따라 달라지는지 살펴보았다. 온라인 설문을 통해 34세 미만의 젊은 성인들(N = 309)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자기노출 성향은 자신의 페이스북 이용 활동에 영향을 미치고, 이는 다시 친구들의 반응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그리고 자신의 활동과 친구들의 반응 정도가 높을수록 페이스북이 인간관계의 유지와 확장에 유용하다고 생각하는 정도도 강해졌다. 그런데 이러한 변인 간 관계는 성별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노출 성향이 자신의 활동에 미치는 영향력은 남성에게서만 유의미하게 나타났고, 자신의 활동이 관계적 유용성에 미치는 영향력 또한 남성에게서 더 강하게 나타났다. 반면, 친구들의 활동이 유용성에 미치는 영향력은 여성에게서 더 강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여성들의 경우 남성들에 비해 페이스북 이용의 관계적인 측면을 평가하는데 있어 친구들의 반응을 보다 중요하게 여긴다는 것을 의미한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1523964822004
G704-001475.2015.15.7.046
ISSN:1598-4877
2508-6723
DOI:10.5392/JKCA.2015.15.07.4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