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적 장애인의 직업능력 향상을 위한 보조공학 활용 연구 분석 : 단일대상 연구를 중심으로
This research was intended to provide a basic data on the study of utilization of assistive technology to improve vocational ability for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s this study was literature review, it was analyzed the qualitative level, methodology contents, and general characteristic...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0(3) Vol. 10; no. 3; pp. 204 - 214 |
---|---|
Main Authors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콘텐츠학회
01.03.2010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4877 2508-6723 |
Cover
Summary: | This research was intended to provide a basic data on the study of utilization of assistive technology to improve vocational ability for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s this study was literature review, it was analyzed the qualitative level, methodology contents, and general characteristic of a study, related assistive technology application for improvement of vocational ability in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experimental environments mostly consisted of separated experimental conditions and design employed multiple probe design; Secondly, all of studies were involved in the standard of selection of subjects, but the proportions of study describing the contents related to subjects was low. The proportions of study describing the behavior-control and exterior-variable control method was low; Thirdly, most study evaluated independent variable and presented fidelity of treatment but, the presentation of social validity was proved to be insufficient. In order to effective application of assistive technology in vocational rehabilitation, it is need a evidence that the application of assistive technology is evidence-based practice in vocational rehabilitation. We also need a supplementation between methodology contents and qualitative level of study in more study. 본 연구는 지적장애인의 직업능력 향상을 위한 보조공학의 활용에 대한 국외의 단일대상연구 논문을 분석하여 지적장애인의 직업능력 향상을 위한 보조공학의 활용 연구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로써, 관련 단일대상연구 논문을 분석하여 연구의 특성, 연구방법의 내용, 연구 설계의 질적 수준을 알아보았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연구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실험환경은 분리된 환경에서의 연구가 대부분이었으며 중다간헐 설계가 대부분이었다; 둘째, 연구 방법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 대상자의 선정기준에 대해서는 모든 논문에서 언급하였으나 대상자와 관련한 내용을 기술한 논문의 비율이 낮게 나타났다. 기초선 측정시의 행동통제방법과 외부변수 통제방법에 대한 기술의 빈도가 낮았다; 셋째, 연구 설계의 질적 수준을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논문에서 독립변수를 측정하고 중재충실도를 제시하고 있으나 사회적 타당도를 제시한 논문의 비율은 낮게 나타났다. 직업재활 분야에서 보조공학의 효과적인 활용을 위해서는 직업재활에 있어 보조공학의 활용이 근거기반의 실제라는 것에 대한 결과의 축적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연구방법의 내용이나 연구 설계의 질적 수준에 대한 보완이 필요할 것이라 생각된다.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1023557657276 G704-001475.2010.10.3.038 |
ISSN: | 1598-4877 2508-67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