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교육 현장에서 학생들의 반응을 통해서 본 정체성 교육의 실제 : 한국고등학교 창의적 재량활동 사례를 중심으로
본 연구는 우리나라 일반계 고등학교 현장에서 실천된 정체성 교육 사례를 통해 학생들의 경험 적 맥락과 특징을 밝히고자 하는 질적 분석 연구이다. 이를 위해 한국고등학교 1학년 창의적 재량 활동에서 정체성 교육프로그램이 진행되는 한 학급의 한 모둠을 선정하였다. 또한 이를 위해 3월 부터 12월까지 32주 동안 주 1회 32시간, 참여관찰과 심층면담, 문서자료 분석 등의 연구를 수행하 였다. 본 연구 결과, 학생들은 주체적 정체성 형성과정에서 ‘개별자로서의 인간관 인식’, ‘충동적 반응 과 정서적 느낌 의식’, ‘이상과 현실 사이에서...
Saved in:
Published in | 교과교육학연구 Vol. 12; no. 1; pp. 139 - 159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01.03.2008
교과교육연구소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Cover
Loading…
Summary: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일반계 고등학교 현장에서 실천된 정체성 교육 사례를 통해 학생들의 경험
적 맥락과 특징을 밝히고자 하는 질적 분석 연구이다. 이를 위해 한국고등학교 1학년 창의적 재량
활동에서 정체성 교육프로그램이 진행되는 한 학급의 한 모둠을 선정하였다. 또한 이를 위해 3월
부터 12월까지 32주 동안 주 1회 32시간, 참여관찰과 심층면담, 문서자료 분석 등의 연구를 수행하
였다.
본 연구 결과, 학생들은 주체적 정체성 형성과정에서 ‘개별자로서의 인간관 인식’, ‘충동적 반응
과 정서적 느낌 의식’, ‘이상과 현실 사이에서 실천적 주체의식’ 등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은 관계적 정체성 형성과정에서 ‘개별성과 관계성의 인식’, ‘보편적 수준의 일반화 된 관점
습득’, ‘나와 타인의 관점 및 감정 이해와 공감’, ‘성찰적 자기평가에서의 통합’ 등을 경험하는 것으
로 나타났다.
또한 선행 연구들에서 간과된 학생들이 자신에 대한 의식을 알아차리는 과정들과 긍정적 인간관
과 긍정적 인간관계관으로 변화되는 과정을 보였다. 자기평가의 성찰과정을 통해 정체성을 통합해
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청소년기 학생들의 정체성 형성을 촉진할 수 있는 현장교육 차원의 연구와 실
천 그리고 청소년 자아의 정체성의 중요성을 인식할 수 있는 교사 재교육프로그램 개발 등이 필요
하다는 현장 중심의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The qualitative analysis in this study was done in order to analyze the contexts and
characteristics of high school students' experiences on an identity education case that was
practiced in a South Korean common high school . For the case, I selected a group of students
who were in same class in a high school where the identity education program was practiced
as a part of their creative elective activities. I conducted various researches, such as,
participative observation, in-depth interview, and document analysis on the selected group to
fully understand the case.
As a result of my analysis, I found,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ir subjective identity,
students experiencing perception of human values as an individual, impulsive response and
emotional feelings, and empirical self-consciousness between idealism and reality. Moreover,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ir social relation identity, I found them showing perception of
individuality and relativism, perception of universally common views, understanding and
sympathizing of others' views and feelings, and integration of retrospective self-evaluations.
The study also showed the students' self-awareness processes which were overlooked in the
former similar studies, and the positive transitions of their views on humanity and human
relations. l also realized that the students form their identities through the process of
self-examination and self-evaluation.
Last but not least, this study shows the importance of the practice of field educations that will
facilitate adolescent students forming their identities, and the needs of a development of training
programs that remind the teachers of the significance of such practice to the teenaged students. KCI Citation Count: 3 |
---|---|
Bibliography: | G704-002067.2008.12.1.013 |
ISSN: | 1975-3217 2671-8324 |
DOI: | 10.24231/rici.2008.12.1.13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