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C를 통한 BIM 데이터의 상호연동 시 문제점분석 및 개선방향 설정에 관한 연구
Construction industries have increasingly utilized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technologies. Interoperability - the capability for BIM data to run from one computer application to another in the life cycle of a project has become one of the principal research areas. Enhancing interoperabilit...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10(6) Vol. 10; no. 6; pp. 88 - 98 |
---|---|
Main Authors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건설관리학회
01.11.2009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005-6095 2465-9703 |
Cover
Summary: | Construction industries have increasingly utilized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technologies. Interoperability - the capability for BIM data to run from one computer application to another in the life cycle of a project has become one of the principal research areas. Enhancing interoperability inevitably requires information structures that are standardized throughout the construction industries. As a candidate of the data exchange standard, Industry Foundation Classes (IFC) has been developed and several researches recently performed to measure its richness of digital data exchange. But doubts have been brought up whether IFC meets a sufficient level of interoperability since the research result revealed a number of cases of information misrepresentation and loss. This research presents the lessons learned from the interoperability tests of three widely used 3D design applications including Graphisoft's Archicad, Autodesk's Revit, and Bentley's Bentley Architecture. One building's architectural and structural design data were modeled with the three tools and exchanged through IFC respectively for interoperability test. BIM 기술은 건물 전생애주기 동안의 다양한 빌딩정보를 저장하고 활용할 수 있게 해 준다. BIM 환경구축을 위해서는 건축, 토목, 설비, 전기 등 각 전문분야가 다양한 BIM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생성한 정보들 간의 상호연동성 확보가 필수적이다. 그러나 현재 사용되고 있는 IFC 기반 정보교환환경을 살펴보면 3D 객체정보의 손실 및 부정확한 정보전달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IFC를 통한 각 어플리케이션 간의 정보 호환이 어느 정도 이루어지고 있는가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필수적이나 현재까지 그런 자료를 제공할 수 있는 연구실적은 미미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최근 들어 국내 빌딩분야에서 활용빈도가 증가하고 있는 Bentley Architecture로 모델링한 설계단계 BIM 데이터를 IFC를 통해 타 어플리케이션으로 호환함에 있어 문제점을 도출하고 선행연구와의 비교분석을 통하여 호환성 증진을 위한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0908856859674 G704-001084.2009.10.6.005 http://www.auric.or.kr/user/rdoc/doc_rdoc_kci.asp?catvalue=3&returnVal=RD_R&page=1&dn=237144 |
ISSN: | 2005-6095 2465-97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