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정체초음파유화술 후에 생긴 인공수정체 탈구의 선행 요인의 빈도와 치료 결과

목적: 이전 초음파수정체유화술 후에 발생한 인공수정체 탈구의 선행 요인의 빈도에 대해 알아보고, 그 수술적 치료의 임상결과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본원에서 2008년부터 2013년까지 인공수정체 탈구로 수술 받은 환자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초음파수정체유화술 방법으로 백내장 수술을 시행 받은 안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총 131안의 인구학적 특성 및 안구계측치, 수술 시 합병증 등을 분석하여 인공수정체 탈구의 선행 요인을 살펴보았다. 또한 인공수정체 탈구의 발생 양상을 분류하고 인공수정체 탈구 교정수술 후의...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Daihan angwa haghoi jabji Vol. 57; no. 1; pp. 36 - 42
Main Author 윤제문(Je Moon Yoon), 현주(Joo Hyun), 임동희(Dong Hui Lim), 정의상(Eui Sang Chung), 정태영(Tae Young Chu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안과학회 30.01.2016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이전 초음파수정체유화술 후에 발생한 인공수정체 탈구의 선행 요인의 빈도에 대해 알아보고, 그 수술적 치료의 임상결과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본원에서 2008년부터 2013년까지 인공수정체 탈구로 수술 받은 환자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초음파수정체유화술 방법으로 백내장 수술을 시행 받은 안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총 131안의 인구학적 특성 및 안구계측치, 수술 시 합병증 등을 분석하여 인공수정체 탈구의 선행 요인을 살펴보았다. 또한 인공수정체 탈구의 발생 양상을 분류하고 인공수정체 탈구 교정수술 후의 시력, 굴절이상, 술 후 합병증 등 임상경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기존에 인공수정체 탈구의 선행 요인으로 알려진 상태의 빈도는 다음과 같았다: 유리체절제술 후 상태(27.5%), 긴 안구길이(9.2%), neodymium-doped yttrium aluminium garnet (Nd:YAG) 후낭절개술(8.4%), 포도막염(6.1%), 외상(5.3%), 성숙 백내장(3.8%), 거짓비늘증후군(2.3%). 평균 나안시력(p=0.00)과 평균 최대교정시력(p=0.01)은 교정수술 후 증가하였다. 평균 구면대응치는 교정수술 후 감소하였으나(p=0.07), 난시의 경우는 증가하였다(p=0.01). 수술 후 6안(4.6%)에서 인공수정체 탈구가 재발하였다. 결론: 인공수정체 탈구 교정수술은 효과적이었으며, 초음파수정체유화술을 이용한 백내장 수술 이후 인공수정체 탈구의 위험성을 증가시키는 요소로서 유리체절제술 후 상태, 긴 안구길이, Nd:YAG 후낭절개술, 포도막염, 외상, 성숙 백내장, 거짓비늘증후군 등이 있었다. Purpose: To report the predisposing factors and surgical outcomes of intraocular lens dislocation (IOL) after phacoemulsification. Methods: We performed a retrospective study of 131 eyes in 120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IOL dislocation after phacoemulsification between January 2008 and December 2013. The main outcomes are possible predisposing factors, characteristics of IOL dislocation, and outcomes of rectification surgery, including visual acuity (VA), and refractive status before and at 3 months after surgery. Results: The main conditions associated with IOL dislocation were as follows: status after vitrectomy (27.5%), long axial length (9.2%), neodymium-doped yttrium aluminium garnet (Nd:YAG) posterior capsulotomy (8.4%), uveitis (6.1%), trauma (5.3%), mature cataract (3.8%), and pseudoexfoliation (2.3%). Mean uncorrected VA improved significantly after rectification surgery (p = 0.00), and best-corrected VA also improved significantly (p = 0.01). Mean value of spherical equivalent tended to decrease, although the decrease was not significant (p = 0.07). Whereas astigmatism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p = 0.01). 6 eyes (4.6%) were associated with recurrence of IOL dislocation. Conclusions: Possible major predisposing factors for IOL dislocation are status after vitrectomy, long axial length, Nd:YAG posterior capsulotomy, uveitis, and trauma. The surgical outcome and improvement of postoperative visual acuity were satisfactory. KCI Citation Count: 0
Bibliography:G704-001025.2016.57.1.017
ISSN:0378-6471
2092-93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