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망막병증 환자에서 패턴 범망막광응고술 후 중심와아래 맥락막두께의 변화

목적: 당뇨망막병증 환자에서 파스칼레이저(pattern scan laser, PASCAL)를 이용한 패턴 범망막광응고술 후 중심와아래 맥락막두께의 변화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13년 2월부터 2014년 12월까지 파스칼레이저를 이용한 패턴 범망막광응고술을 시행 받은 39명 50안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를 심한 비증식당뇨망막병증(severe non-proliferative diabetic retinopathy), 증식당뇨망막병증(proliferative diabetic retinopathy)으로 분류하여 비교하였다...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Daihan angwa haghoi jabji Vol. 57; no. 8; pp. 1216 - 1221
Main Author 전혜민(Hye Min Jeon), 채수혜(Sue Hey Chae), 안소은(Soh Eun Ahn), 김상원(Sang Won Kim), 윤희성(Hee Seong Yoo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안과학회 30.08.2016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0378-6471
2092-9374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당뇨망막병증 환자에서 파스칼레이저(pattern scan laser, PASCAL)를 이용한 패턴 범망막광응고술 후 중심와아래 맥락막두께의 변화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13년 2월부터 2014년 12월까지 파스칼레이저를 이용한 패턴 범망막광응고술을 시행 받은 39명 50안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를 심한 비증식당뇨망막병증(severe non-proliferative diabetic retinopathy), 증식당뇨망막병증(proliferative diabetic retinopathy)으로 분류하여 비교하였다. 스펙트럼도메인 빛간섭단층촬영의 enhanced depth imaging으로 측정하여 술 전, 술 후 1개월, 3개월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술 전 중심와아래 맥락막의 두께는 270.42 ± 61.44 μm였고 술 후 1개월에 264.52 ± 60.78 μm, 3개월에 255.74 ± 56.89 μm로 술 후 3개월에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 중심망막두께는 술 전 275.56 ± 50.61 μm에서 술 후 1개월에 295.18 ± 52.80 μm, 3개월에 293.10 ± 57.24 μm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당뇨망막병증의 중증도에 따른 맥락막두께 변화를 비교하였을 때 두 군 간의 차이는 없었다. 결론: 당뇨망막병증 환자에서 파스칼레이저를 이용한 패턴 범망막광응고술 후 중심와아래 맥락막두께는 감소하였다. Purpose: To evaluate changes in subfoveal choroidal thickness (SFCT) after patterned panretinal photocoagulation (PRP) using pattern scan laser (PASCAL) in patients with diabetic retinopathy. Methods: This study included 39 patients (50 eyes) treated with patterned PRP using PASCAL and who were followed for at least 3 months. Patients were classified into 2 groups according to severity: severe non-proliferative diabetic retinopathy and proliferative diabetic retinopathy. SFCT was measured by enhanced depth imaging of spectral-domai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The change in SFCT was analyzed at 1 and 3 months after PRP. Results: SFCT was 270.42 ± 61.44 μm before PRP, 264.52 ± 60.78 μm at 1 month, and 255.74 ± 56.89 μm at 3 months after PRP. Significant change of SFCT was found at 3 months after PRP. Central macular thickness was 275.56 ± 50.61 μm before PRP and increased to 295.18 ± 52.80 μm and 293.10 ± 57.24 μm at 1 and 3 months post-treatment, respectivel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SFCT at baseline or in the amount of change in SFCT after PRP. Conclusions: SFCT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patterned PRP using PASCAL. KCI Citation Count: 0
Bibliography:G704-001025.2016.57.8.016
ISSN:0378-6471
2092-93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