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the Target Talker Gender and the Number of Competing Talkers on Acceptable Noise Level (ANL) of Korean Normal-Hearing Adults
본 연구에서는 한국건청인의 수용소음레벨을 측정하고 이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실험측정변수로는 목표화자성별과 배경화자수를 조절하여 두 변수가 한국건청인의 수용가능한 소음레벨(acceptable noise level, ANL)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청취대상자는 건청성인 20명(남: 9, 여: 11, 평균연령: 26세)이었다. 한국어 ANL 측정을 위해 한국표준어를 사용하는 성인 6명(남: 3, 여: 3)에 의해 목표어음을 녹음하여 목표화자성별의 영향을 확인하였다. ANL 배경어음은 한국표준어...
Saved in:
Published in | Audiology and Speech Research, 6(2) Vol. 6; no. 2; pp. 146 - 152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English Korean |
Published |
한국청각언어재활학회
01.12.2010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635-5019 2635-5027 |
Cover
Summary: | 본 연구에서는 한국건청인의 수용소음레벨을 측정하고 이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실험측정변수로는 목표화자성별과 배경화자수를 조절하여 두 변수가 한국건청인의 수용가능한 소음레벨(acceptable noise level, ANL)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청취대상자는 건청성인 20명(남: 9, 여: 11, 평균연령: 26세)이었다. 한국어 ANL 측정을 위해 한국표준어를 사용하는 성인 6명(남: 3, 여: 3)에 의해 목표어음을 녹음하여 목표화자성별의 영향을 확인하였다. ANL 배경어음은 한국표준어를 사용하는 성인 8명(남: 4, 여: 4)이 신문, 잡지를 약 5분간 읽고 녹음하였다. 녹음된 배경어음의 평균 RMS (root mean squared) 강도를 조절한 후 mixing 작업을 통해 다섯 가지 종류의 배경어음(1-male, 1-female, 2-, 4-, 8-talker maskers)을 생성하였다. 모든 ANL 측정방법은 기존 ANL 측정방법(Nabelek et al., 1991)에 기초하였다. 실험결과 목표화자의 성별에 따라 ANL 결과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목표화자가 남자이든 여자이든 ANL에 큰 영향을 주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배경화자수가 8명에서 1명으로 수가 적어질수록 ANL이 유의하게 높아졌다. ANL 결과가 높을수록 청자가 더 적은 소음을 허용했음을 의미하므로, 배경화자수가 8명에서 1명으로 감소될 경우 배경어음의 의미가 보다 잘 전달되어 의미적 차폐(informational masking)가 발생하여 적은 소음을 수용할 수 있었던 것이다. 한국, 미국 건청인의 ANL을 비교한 결과 ANL 범위는 비슷하나 대체적으로 한국건청인의 ANL값이 비교적 낮은 편이었다. 향후 다양한 한국 청자군의 ANL을 측정하여 ANL과 청각보조기기 착용 성공여부와의 상관성을 확인하여 그 임상적 활용도를 높이고자 한다. KCI Citation Count: 16 |
---|---|
Bibliography: | G704-SER000010392.2010.6.2.004 |
ISSN: | 2635-5019 2635-50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