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퇴예정자의 은퇴설계가 개인의 삶의 질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심리적 위기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middle-aged retirement planning on individual's quality of life and overall satisfaction, and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and psychological sense of crisis, and the differences of measured variables in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Reti...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5(10) Vol. 15; no. 10; pp. 570 - 586
Main Authors 김선화, 임왕규, Kim, Sun-Hwa, Lim, Wang-Kyu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콘텐츠학회 01.10.201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4877
2508-6723
DOI10.5392/JKCA.2015.15.10.570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middle-aged retirement planning on individual's quality of life and overall satisfaction, and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and psychological sense of crisis, and the differences of measured variables in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Retirement planning that may be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he country's social costs is aimed to provide a basis for fixing the interest in advance of retirement planning training and retirement. The subjects are workers who live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nd Gyonggi-do. Total sample size is 350, then 335 samples were collected on the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house ownership and education level among demographic variables affects satisfaction of their life. People who do not own a house shows higher satisfaction, and higher education level affects satisfaction positively. Second, satisfaction is affected by transition to rest negatively, on the other hand, it is affected by expect of new beginning positively. Besides, No moderating effect of social and psychological crisis showed that negative life evaluation role to the independent variables. Third, cognitive information is affected by transition to rest and imposed disruption positively. Besides, job dissatisfaction adjusts between them. Fourth, improvement of life quality is not affected by expect of the retirement planning. On the other hand, there is not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and psychological sense of crisis. 본 연구는 은퇴를 앞둔 은퇴예정자들의 은퇴설계가 개인의 삶의 질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사회 심리적 위기감의 조절효과 및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른 차이를 분석해보고, 은퇴설계가 국가의 사회적비용 절감에 가장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으므로 은퇴설계의 사전교육과 은퇴준비에 대한 관심을 정착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조사대상은 서울 및 수도권에 거주하는 은퇴를 앞둔 직장인을 대상으로, 총 350부의 자료를 배포하여 회수된 335명의 표본이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인구통계학적 변수 중 주택소유형태와 학력에 따라 총체적 만족감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주택소유형태는 임대인 경우, 학력은 높을수록 총체적 만족감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만족도에는 휴식으로의 전환이 부(-)의 영향, 출발에 대한 기대가 정(+)의 영향을 미치며, 사회적 심리적 위기감의 조절효과는 없고 부정적 인생평가가 독립변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지적 정보에는 휴식으로의 전환과 강요된 좌절은 정(+)의 영향을 미치며, 직업 불만족이 조절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삶의 질 개선에는 은퇴설계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 심리적 위기감의 조절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1532434263791
G704-001475.2015.15.10.044
ISSN:1598-4877
2508-6723
DOI:10.5392/JKCA.2015.15.10.5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