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전쌍마스크를 이용한 호흡모사팬톰 연구

목 적: 호흡동기치료, 호흡조절 방사선치료 등 호흡에 관련된 치료법의 연구를 위해 열전쌍마스크(Respiration Monitoring Mask: ReMM)를 이용한 호흡모사팬톰을 개발하였다. 대상 및 방법: 호흡신호에 따라 실시간으로 움직이는 호흡모사팬톰을 제작하였다. 열전쌍으로 환자의 호흡을 측정하고, 측정된 호흡 신호와 장기의 움직임을 비교․분석하여 팬톰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환자의 호흡 측정에는 본원에서 개발한 ReMM을 사용하였으며, 호흡모사팬톰의 운동은 RPMⓇ (Real-time Position Management, V...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 23; no. 4; pp. 217 - 222
Main Author 임상욱(Sangwook Lim), 안승도(Seung Do Ahn), 박성호(Sung Ho Park), 이병용(Byong Yong Yi), 이상훈(Sang Hoon Lee), 조삼주(Sam Ju Cho), 허현도(Hyun Do Huh), 신성수(Seong Soo Shin), 김종훈(Jong Hoon Kim), 이상욱(Sang-wook Lee), 권수일(Soo Il Kwon), 최은경(Eun Kyung Choi)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방사선종양학회 30.12.2005
The Korean Society for Radiation Oncology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234-1900
2234-3156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목 적: 호흡동기치료, 호흡조절 방사선치료 등 호흡에 관련된 치료법의 연구를 위해 열전쌍마스크(Respiration Monitoring Mask: ReMM)를 이용한 호흡모사팬톰을 개발하였다. 대상 및 방법: 호흡신호에 따라 실시간으로 움직이는 호흡모사팬톰을 제작하였다. 열전쌍으로 환자의 호흡을 측정하고, 측정된 호흡 신호와 장기의 움직임을 비교․분석하여 팬톰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환자의 호흡 측정에는 본원에서 개발한 ReMM을 사용하였으며, 호흡모사팬톰의 운동은 RPMⓇ (Real-time Position Management, Varian, USA)으로 측정하였다. 횡격막 부위의 장기 운동을 확인하기 위하여 X-선 투시기를 사용하였다. 결 과: X-선 투시영상과 RPMⓇ으로 관찰한 장기의 움직임을 ReMM으로 측정한 호흡 신호와 비교했을 경우, 각각 표준편차 9.68% 및 8.53% 이내에서 일치하였다. 호흡 신호에 따른 팬톰 운동의 오차는 호흡진폭에 대하여 표준편차 8.52%이내에서 일치하였다. 결 론: ReMM은 환자가 호흡을 하는데 불편함이 없었고, 열전쌍에서 발생되는 호흡 신호를 이용한 호흡모사 팬톰은 장기의 운동을 실시간으로 잘 모사하였다. 호흡모사팬톰은 호흡동기치료 등 다양한 치료법의 평가에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Purpose: To develop the respiration simulating phantom with thermocouple for evaluating 4D radiotherapy such as gated radiotherapy, breathing control radiotherapy and dynamic tumor tracking radiotherapy. Materials and Methods: The respiration monitoring mask (ReMM) with thermocouple was developed to monitor the patient's irregular respiration. The signal from ReMM controls the simulating phantom as organ motion of patients in real-time. The organ and the phantom motion were compared with its respiratory curves to evaluate the simulating phantom. ReMM was used to measure patients’ respiration, and the movement of simulating phantom was measured by using RPMⓇ. The fluoroscope was used to monitor the patient's diaphragm motion. Results: Comparing with the curves of respiration measured by thermocouple and those of the organ motion measured by fluoroscope and RPM, the standard deviations between the curves were 9.68% and 8.53% relative to the organ motion, respectively. The standard deviation of discrepancy between the respiratory curve and the organ motion was 8.52% of motion range. Conclusion: Patients felt comfortable with ReM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ignal from ReMM and the organ motion shows strong correlation. The phantom simulates the organ motion in real-time according to the respiratory signal from the ReMM. It is expected that the simulating phantom with ReMM could be used to verify the 4D radiotherapy. KCI Citation Count: 5
Bibliography:G704-000881.2005.23.4.006
http://kmbase.medric.or.kr/Main.aspx?d=KMBASE&m=VIEW&i=0859320050230040217
ISSN:2234-1900
2234-31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