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청소년의 비만에 관한 종단적 분석

The objectives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1) how the rates of adolescents' BMI change over time in terms of the state level; and 2) development difference in the state level of BMI in terms of children's obesogenic behaviors from 1999 to 2011. Data were drawn from the 1999-2011 Youth...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6(8) Vol. 16; no. 8; pp. 743 - 755
Main Authors 김태응, 김종호, 황선환, Kim, TaeEung, Kim, Jongho, Hwang, Sunhwa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콘텐츠학회 01.08.2016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4877
2508-6723
DOI10.5392/JKCA.2016.16.08.743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The objectives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1) how the rates of adolescents' BMI change over time in terms of the state level; and 2) development difference in the state level of BMI in terms of children's obesogenic behaviors from 1999 to 2011. Data were drawn from the 1999-2011 Youth Risk Behavior Survey in the United States (N=260, 293, grades 9-12, and 27 states). Ordinary least squares regression and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were utilized to capture a longitudinal time effect of school-aged adolescents' obesity rates across the states, controlling for demographics and nutrition- and physical activity-related behaviors. The state's level of children's BMI percentile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longitudinal time. Longitudinal time effect across the states appears to play an important factor associated with children's decrease of BMI percentile. Therefore the states' implementation of physical activity and nutritional policies seems to be effective for preventing and reducing childhood obesity during last decade. More attention should focus on enforcing the policy and overcoming current barriers in order to minimize children's obesogenic factor. 이 연구의 목적은 미국 취학 아동-청소년의 BMI 변화율이 어떻게 달라지고 있는지, 그리고 청소년 발달 상태에 따른 비만을 유발하는 해로운 행동들이 청소년들의 비만 현상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종단적으로 밝히는데 있다. 1999-2011 미국 청소년 위험 행동 조사 데이터를 사용하였으며, 총 연구 대상은 260,293명이다(9-12학년). 미국 취학 청소년들의 비만율에 미치는 종단적 시간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인구통계학적 특성, 영양 및 신체활동 관련 행위들을 공변량으로 통제한 최소자승법 회귀분석과 위계적 선형 모델링이 활용되었다. 취학 청소년들의 BMI 퍼센티지는 시간과 유의미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종단적 시간은 아이들의 BMI 퍼센티지에 상당히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지난 10년 동안의 미국 아동 비만을 줄이기 위한 신체 활동 및 영양 정책은 미국 아동들의 비만 유지 및 감소를 위한 매우 효과적인 정책이었으며, 향후 청소년의 비만 요인 감소와 장애요소를 극복을 위한 정책을 강화하는데 더욱 많은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1626360540912
G704-001475.2016.16.8.053
ISSN:1598-4877
2508-6723
DOI:10.5392/JKCA.2016.16.08.7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