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세안과 시자극 주변 맥락이 양안 경합에 미치는 효과

목적: 우세안과 선호안의 관련성 및 시자극 주변 맥락이 양안 경합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성인 10명이 참가했으며 우세안은 hole-in-the-card test로 판별했다. 실험1은 적록안경으로 백색의 시자극을 주시하여색깔을 보고하게 하였으며 우세안에서 보이는 색과의 관련성을 보았다. 색의 우성과 주변 맥락의 영향을 보기 위해 적록안경의 좌우를 바꾸고 배경색을 더하여 실험을 시행하였다. 실험2는 편광안경으로 시자극을 주시하여 격자방향을 보고하게 하였으며 우세안에서보이는 격자와 관련성을 보았다. 자극...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Daihan angwa haghoi jabji Vol. 56; no. 12; pp. 1953 - 1960
Main Author 인정희(Jung Hee In), 장지호(Jee Ho Chang), 김윤경(Yoon Kyung Kim)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안과학회 31.12.201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우세안과 선호안의 관련성 및 시자극 주변 맥락이 양안 경합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성인 10명이 참가했으며 우세안은 hole-in-the-card test로 판별했다. 실험1은 적록안경으로 백색의 시자극을 주시하여색깔을 보고하게 하였으며 우세안에서 보이는 색과의 관련성을 보았다. 색의 우성과 주변 맥락의 영향을 보기 위해 적록안경의 좌우를 바꾸고 배경색을 더하여 실험을 시행하였다. 실험2는 편광안경으로 시자극을 주시하여 격자방향을 보고하게 하였으며 우세안에서보이는 격자와 관련성을 보았다. 자극크기의 영향을 보기 위해 작은 제시자극으로 실험을 시행하였으며 주변 맥락의 영향을 보기위해 제시자극 배경에 격자를 추가하여 실험을 시행하였다. 결과: 총 10명이 대상이었으며 실험1에서 10명 중 8명이 우세안과 선호안이 유의한 연관성을 보였으며 적록안경 필터를 반대로 착용했을 때도 동일했다. 실험2에서는 10명 중 7명이 우세안과 선호안이 유의한 연관성을 보였으며 작은 제시자극으로 추가 시행하였을때 동일한 연관성을 보였다. 실험1-2와 실험2-2에서는 모든 피험자가 유의하게 주변 맥락과 반대되는 제시자극을 선택하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시자극의 양안 경합 상황에서 우세안과 선호안의 관련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 1-2와 2-2에서는 주변 맥락과 반대되는 제시자극이 우세한 결과를 확인하였다. 주변 맥락 효과는 배경과 일치하는 제시자극의 강도를 감소시켜 배경과 반대되는 제시자극의 지각적 우위를 가져오리라 생각한다. Purpose: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dominant eye and contextual background on predominance during binocular rivalry. Methods: 10 subjects were recruited for the present study. Dominant eye was determined using the hole-in-the-card test. In experiment 1, subjects viewed the stimuli through anaglyph filters and reported the predominance of color. The subject’s responses were compared with the color on the dominant eye.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color dominance and contextual color, we conducted the experiment with added contextual color information target through switched-anaglyph filters. In experiment 2, the subject viewed the stimuli through the polarized filters and reported the predominance of orientation. The subject's responses were compared with the grating on dominant eye. To rule out the effect of stimulus size, we conducted the experiment with a smaller target. We designed the additional experiment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contextual grating information on binocular rivalry. Results: 10 subjects were evaluated. In experiment 1, 8 of 10 subjects reported that eye preference was highly correlated with dominant eye. This finding is significant without reference to color. In experiment 2, 7 of 10 subjects reported that eye preference was highly correlated with dominant eye. This finding is significant without reference to size. In experiment 1-2 and 2-2, all subjects reported that predominance of context contradictory target increased. Conclusions: We fou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ominant eye and eye preference. Experiment 1-2 and 2-2 showed that contradictory contextual information increases target predominance during binocular rivalry. Overall, our results indicate that the contextual background reduce the stimulus strength of the context-congruent target; it would correspond to an increase in the dominance duration of the context-contradictory target. KCI Citation Count: 0
Bibliography:G704-001025.2015.56.12.019
ISSN:0378-6471
2092-9374